TNF-알파 억제제, 패혈성 관절염 위험 높여
상태바
TNF-알파 억제제, 패혈성 관절염 위험 높여
  • 최관식 기자
  • 승인 2023.09.20 13: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직성 척추염 및 혈청 양성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대상 분석
연세대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안성수 교수팀

만성 염증성 관절염 환자에게 흔히 사용되는 ‘TNF-알파 억제제’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패혈성 관절염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강직성 척추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은 성인에게 발생하는 가장 흔한 만성 염증성 관절염이다. 그간 전통적 합성 항류마티스제를 이용한 치료가 주로 이뤄졌지만, 최근 질병 발생 기전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면서 기존 치료에 충분한 효과를 보이지 않는 환자들에게는 염증을 유발하는 핵심 물질인 TNF-알파를 억제하는 치료가 흔히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면역억제제 치료를 지속할 경우 정상적 면역 계통의 이상으로 인해 패혈성 관절염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패혈성 관절염은 만성 염증성 질환의 악화로 인해 나타나는 관절의 붓기 및 통증과 구별이 어렵고,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사진 왼쪽부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안성수 교수, 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김형우 교수,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한민경 교수.
사진 왼쪽부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안성수 교수, 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김형우 교수,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한민경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안성수 교수, 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김형우 교수,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한민경 교수팀은 강직성 척추염 및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TNF-알파 억제제 치료 후 패혈성 관절염의 발생 위험을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를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가운데 강직성 척추염 및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진단된 14만5,129명의 데이터를 선별했다. 이후 기존에 해당 질환을 보유한 환자를 제외한 뒤 추적 관찰 기간 패혈성 관절염으로 진단된 대상자의 비율을 확인하고 위험 인자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환자 중 0.8%에 해당하는 1,170명에서 패혈성 관절염이 발생했다. 특히 두 질환 중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우에서만 TNF-알파 억제제 사용에 따라 패혈성 관절염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이 발견됐다.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패혈성 관절염 발생 위험을 높이는 위험 인자로는 TNF-알파 억제제의 사용, 나이, 고혈압·당뇨·만성 폐질환 등의 기저질환이 확인됐으며, 강직성 척추염 환자는 나이와 신장 질환의 기왕력만이 패혈성 관절염과 연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두 질환 모두 TNF-알파 억제제 사용 1년 이내에 패혈성 관절염의 위험성이 가장 높았다.

강직성 척추염과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전체 환자군을 살핀 결과 고령, 남성,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 고혈압·당뇨·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 기저질환이 패혈성 관절염의 위험 인자로 드러났다.
강직성 척추염과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전체 환자군을 살핀 결과 고령, 남성,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 고혈압·당뇨·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 기저질환이 패혈성 관절염의 위험 인자로 드러났다.

이 연구는 나이, 기저질환, 약물 치료 시작 후 경과 시간 등에 따라 TNF-알파 억제제의 사용이 패혈성 관절염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을 밝혀 추후 해당 약물 사용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위험 요인에 대한 면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안성수 교수는 “만성 염증성 관절염 환자에게 널리 사용되는 TNF-알파 억제제와 패혈성 관절염 발생 위험 사이 연관성이 밝혀짐에 따라 앞으로 환자의 진료와 모니터링 계획 수립에 있어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류마톨로지(Rheumatology, IF 5.5)’에 최근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