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R 기능확대를 위한 심평원의 아이디어…‘QR 코드’
상태바
DUR 기능확대를 위한 심평원의 아이디어…‘QR 코드’
  • 정윤식 기자
  • 승인 2024.12.10 05: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심평원, QR코드 활용 약표지 조제 정보 표시 방안 제안
폐의약품 처리 및 마약류 관리 등 기능 강화 요구 반영 가능
이미지: ChatGPT
이미지: ChatGPT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이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Drug Utilization Review)의 기능확대 방안으로 QR코드를 활용한 약표지 조제 정보 표시를 제안해 눈길을 끌고 있다.

QR 코드 도입 시 의약품 정보 분실 감소 및 복약 정보 수집 등으로 복약순응도 제고를 비롯해 의약품 감소를 통한 환경오염 예방과 사회적 비용 절감 등이 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김태현 심평원 DUR 정보부장은 최근 열린 ‘ICT-디지털혁신포럼’에서 폐의약품 감소를 위한 QR코드 활용 약 조제 정보 DUR 서비스를 소개하며 이같이 주장했다.

김태현 부장의 설명에 따르면 QR코드로 약 표지에 조제 정보를 표시하면 QR코드가 DUR 시스템으로 해당 의약품 정보를 즉각 전달하는 게 가능하다.

즉, DUR의 추가적 기능확대를 위해 QR코드 인식이 가능한 의약품 정보 수집 및 분석·환류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김태현 부장은 “의약품 제조 단계에서 알약의 낱알 단위로 약품 정보와 생산 정보를 담은 3D 코드를 삽입하고 약 표지와 봉투에 의약품 복약 정보를 QR코드로 안내하면 효율적인 약물 관리가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현재 제약사는 모든 의약품의 용기나 포장에 효능·효과 및 저장 방법 등을 표시하고 바코드 또는 전자태그를 표기하고 있다.

아울러 다제약물 관리와 폐의약품 처리 방안에 대한 일각의 요구까지 해소할 수 있다는 게 김 부장의 설명이다.

실제로 올해 6월 기준 10개 이상의 약을 60일 넘게 복용하는 다제약물 복용자는 136만 명에 달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난 2018년 83만여 명이던 다제약물 복용자는 2023년 128만여 명, 올해 6월에는 약 136만 명까지 증가했다.

특히 180일 이상의 의약품 장기 처방도 2021년 370만 건에서 2022년 425만 건으로 약 15% 증가한 상태다.

김태현 심평원 DUR 정보부장

김 부장은 “QR코드 인식으로 정보 수집 및 분석·환류를 하면 환자별 복용상태, 불용 사유 등 활용한 맞춤형 진료, 조제·불용·폐기 등 상호 연관성 분석을 통한 효율적 의약품 관리 정책을 마련할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단, 선결 과제도 존재한다.

김 부장은 “의약품별 복용 시기 등 추가적인 정보 수집이 필요해 DUR 점검 의무화 등 제도 보완이 필수적이나 민감한 의약품 정보의 타인 습득 가능성 우려가 있어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의약품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의약품 이미지 인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지만, 한계에 봉착한 점도 언급한 김 부장이다.

김 부장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의약품 관리 방안도 기대를 받았는데, 현실적인 문제가 많다”며 “의약품 알약 이미지는 크기, 색상, 모양, 제형 등이 비슷하고 식별표시만 다른 경우가 많아 AI 학습을 통한 이미지 인식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DUR 점검 활성화 및 제도적 의무화 등의 제도 보완책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정보 공개 가능 의약품 범위 설정 및 민감정보 인증 처리 절차 마련 등 개인정보 침해 우려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부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