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더 필요한데 정원을 줄여서야(?)
상태바
전문의 더 필요한데 정원을 줄여서야(?)
  • 박현 기자
  • 승인 2013.10.28 08: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활의학회, 수급전망 연구용역…장기적인 정책방향 모색
보건복지부가 국시 합격자와 레지던트 정원 사이의 괴리를 해소하기 위해 전공의 감축 정책을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재활의학회가 전문기관에 전문의 수급에 대한 연구용역을 발주하기로 해 관심이 모아진다.

정부와 병협, 학회 등 이해당사자가 아닌 제3의 기관에서 공정한 연구를 통해 장기적인 전문의 수급 계획을 확립하겠다는 입장이다.

대한재활의학회 김희상 이사장(경희의료원)은 10월25일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열린 추계학술대회에서 "정원간 괴리를 해소하겠다는 정부방침은 충분히 이해한다. 하지만 전문의 수급은 국민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거시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할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학회는 이사회를 통해 이 같은 방침을 정하고 추계학술대회가 끝나는대로 장기적인 전문의 수급 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발주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상황을 분석하고 향후 수요를 예측해 올바른 수급계획을 세우고 향후 전공의 정원책정 시 이를 근거자료로 제출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이사장은 "고령화사회로 접어들고 요양병원과 재활병원이 늘어나면서 재활의학 전문의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서 "이미 많은 병원이 전문의를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정부 방침으로 앞으로 4년 뒤면 무려 20%나 전문의 숫자가 줄어들게 된다"면서 "학회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김희상 이사장은 "정원괴리 문제는 분명히 해결해야 할 부분이고 정책적으로 이 같은 방침이 정해진 이상 이를 정면으로 반박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만 올바른 방향이 무엇인지 큰 틀에서 고민하자는 의미에서 연구용역을 맡길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용역은 전문의 수요와 정원은 물론 재활의학과의 향후 패러다임을 결정하는 중요한 연구가 될 것"이라며 "최대한 빠르게 연구를 진행해 내년 춘계학술대회를 통해 이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1천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암재활 패러다임 전환'(MD 앤더슨 신기영)이란 주제의 대한 기조강연과  '보건의료자원정책과 재활의학'(보건복지부 의료자원정책과 정제혁)과 '현행 한방의료의 제문제'(의협 한방특별대책위원회 유용상) 등에 대한 정책심포지엄이 열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