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조직 기증 활성화=신뢰받는 기증체계 구축
상태바
인체조직 기증 활성화=신뢰받는 기증체계 구축
  • 박현 기자
  • 승인 2013.10.16 14: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체조직기증 운동 5년, 서약자와 기증자 모두 눈에 띄게 늘어
향후 기증 활성화는 국민신뢰를 받는 공적체계 구축에 좌우될 것
국내 유일의 인체조직기증 전문 홍보·교육 기관인 (사)한국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www.kost.or.kr, 박창일 이사장)는 10월16일 오전 인사동의 한 갤러리에서 설립 5주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빠른 시일 내에 인체조직 기증문화를 정착시켜 조직 이식재의 해외수입 의존도를 낮춰야한다고 밝혔다.

인체조직 기증은 사후(死後)에 피부, 뼈, 연골, 인대, 건, 혈관, 심장판막 등을 기증하는 것으로 1명의 기증자가 최대 100명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생명나눔이다. 기증된 조직은 가공, 보관을 거쳐 환자들을 치료할 소중한 이식재로 활용된다.

인체조직 기증 운동 5년, 갈 길 아직 멀어

헌혈 다음으로 가장 잘 알려진 생명나눔인 장기기증 운동은 25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그에 반해 인체조직기증은 5년 남짓.

한국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 설립 이전에 이를 전문적으로 홍보하는 기관이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부 설립 후 5년 동안 기증 희망 서약자, 기증자가 눈에 띄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 조직기증 저변이 조금씩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잠재 기증자라고 할 수 있는 희망서약자는 장기와 대비해 초창기 1/10 수준에도 못 미쳤으나 2013년 9월 말 조회 기준으로 13만8천990명을 기록해 장기기증 희망서약자 99만7천18명의 1/7 수준으로 증가했다.

기증자 또한 마찬가지. 기증자가 없어 2007년 이전 90%대를 기록하던 이식재 수입률이 2009년부터 70%대로 떨어졌고 2011년에는 처음으로 기증자가 200명을 돌파했다. 이에 따라 해외 이식재 사용 시 우려되는 안전성, 적합성, 경제적 부담 등의 문제가 환자에게 전가되는 경우도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국민 신뢰 받는 기증체계 구축이 가장 절실

이날 박창일 이사장은 “민간단체 차원에서 국민 인식 개선에 끊임없이 힘쓰고 있지만 가장 선행돼야 할 것은 국민에게 신뢰받는 공적시스템 마련”이라고 강조했다. 

헌혈과 장기, 조혈모세포 기증처럼 동일한 인체유래물인 인체조직도 공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것. 현재 인체조직은 현행법 상 부가가치세가 붙는 '상품'으로 분류되어 있고 장기와 달리 기증희망 등록기관과 공적 구득기관, 통합관리 기구가 없이 시장경제에 맡겨진 처지이다.

공적체계 마련을 위해 지난 5월 오제세 의원이 해당 내용을 담은 '인체조직안전및관리에관한법률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으나 반년 동안 계류 중이다.

박 이사장은 “기증자체가 아무리 좋은 일이라고 하나, 어떻게 기증하고 어떻게 쓰이는지 신뢰할 수 없다면 기증에 동의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며 “기증자와 이식자를 존중하기 위해 빠른 시일 내에 법 개정 논의를 해야하며 국회와 관계 부처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한국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 “저소득층 화상 환자와 골육종 환자 발굴·지원할 것“

이날 본부 박창일 이사장은 또 “조직이식이 우리 주변에서 얼마나 빈번하게 일어나는지, 얼마나 소중하게 쓰이는지 환자돕기를 통해 국민들에게 알리겠다“며 저소득층 골육종 환자, 전신화상 환자를 발굴해 이식재 및 치료비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까지 지원 받은 환자는 총 9명으로 매달 1명 이상을 선정해 지원할 예정이다.

한국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 박창일 이사장은 “5년 동안 기증자, 서약자가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은 본부 사업의 가장 큰 성과”라며 “앞으로 법개정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할 것이며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체계 속에서 효과적으로 기증문화를 조성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