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뇌종양의 예후 예측 가능한 유전자 발견
상태바
악성뇌종양의 예후 예측 가능한 유전자 발견
  • 박현 기자
  • 승인 2011.12.05 1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포세포종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특정 유전자 확인
치료과정서 합병증 최소화하는 치료방향과 강도 결정할 수 있는 단서 마련

소아청소년이 앓고 있는 악성뇌종양 중에서 가정 흔한 병인 수모세포종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게놈분석 연구결과가 발표되어 합병증을 최대한 줄이면서 치료방향과 강도를 결정할 수 있는 단서가 마련됐다.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 신경외과 김승기 교수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박웅양 교수는 합병증을 줄이는 치료법을 찾기 위해서 악성뇌종양 중에 하나인 수모세포종을 앓고 있는 3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종양조직의 전체 종양게놈에 대해 RNA, DNA, 염색체의 세 단계에서 유전자의 변이와 발현양상을 관찰하는 다층생명정보 분석연구를 했다.

그 결과 유전자 중 Wnt, MYCC, MYCN와 17번 염색체가 예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Wnt 유전자의 발현은 좋은 예후를 보였고 MYCC, MYCN 유전자의 발현정도가 높거나 17번 염색체 단완의 소실이 있는 경우에는 예후가 좋지 못했다.

수모세포종은 치료율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약 1/3의 환자가 말기암으로 진행되며 수술과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치료의 과정이 쉽지 않고 치료의 강도가 높아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도 적지 않았다.

따라서 많은 의사들이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모세포종 환자들을 임상적으로 좋은 예후를 갖는 환자와 나쁜 예후를 갖는 환자로 구분하여 치료의 방향과 강도를 달리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김승기 교수는 “수술 후 종양조직에서 Wnt 유전자, MYCC/MYCN 유전자의 발현과 17번 염색체 단완의 소실을 확인하면 좋은 예후와 나쁜 예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항암방사선 치료의 강도와 기간을 조절해 환자들의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과학재단과 보건복지부의 연구비지원을 받아 이루어졌으며 미국 신경종양학회지(Neuro-Oncology; IF= 5.483)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