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 환자를 위한 맞춤형 진단 및 국제표준 치료 플랫폼 개발 추진
상태바
‘이명’ 환자를 위한 맞춤형 진단 및 국제표준 치료 플랫폼 개발 추진
  • 오민호 기자
  • 승인 2024.06.27 13: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성모병원 박시내‧한재상 교수팀, 정부 연구과제 선정…12억원 지원 받아
1999년 국내 최초 ‘이명클리닉’ 설립으로 축적된 25년 임상데이터 활용‧분석

국내 연구팀이 ‘이명’ 환자 맞춤형 진단 및 국제표준 치료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그 주인공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박시내 교수(연구책임자)와 한재상 교수(공동연구자) 연구팀으로 최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감각신경성 이명 진단 및 치료 복합 플랫폼의 개발: 동물 모델과 임상 연구를 통한 검증’ 과제가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 지원 사업에 선정됐다.

이번 연구는 2024년 5월부터 2029년 4월까지 5년간 진행되며, 총 12억원의 연구비를 정부로부터 지원받는다.

왼쪽부터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박시내 교수, 한재상 교수
왼쪽부터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박시내 교수, 한재상 교수

이에 따라 연구팀은 그동안 진행된 다양한 기초 및 임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세계 최초 이명 환자 완치율을 높이기 위한 감각신경성 이명의 과학적인 진단 및 맞춤형 치료 플랫폼을 개발‧검증하게 된다.

이명은 외부 청각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소리를 느끼는 증상을 말한다. 이명 환자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감각신경성 이명은 난청, 스트레스, 동반된 귀 질환 또는 정신과 질환 등이 원인이다.

그러나 같은 감각신경성 이명 환자라도 이명이 발생하는 주된 원인이 다를 수 있지만 현재는 원인에 맞춘 개인화된 치료 제공이 안 돼, 이명은 난치성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감각신경성 이명 환자의 주된 원인을 파악하고 최적의 맞춤형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는 이명 진단 및 치료 플랫폼을 개발하고 그 유용성이 입증되면 진료 현장에서 환자를 빠르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 교수는 “지금까지 이명 치료는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었지만, 새로운 개념의 이명 진단과 치료에 대한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디지털 진료 기기 개발 등 고도화된 이명 환자용 진료 플랫폼이 상용화될 경우, 국내를 넘어 해외 환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서 박 교수는 “이명은 불치병이 아니다. 전문가 상담을 통해 이명에 대해 잘 알고, 이명 재훈련 치료, 청각재활 등을 병행하면 충분히 치료될 수 있다”며 “감각신경성 이명의 과학적 진단 및 치료 플랫폼을 개발해 이명 환자의 완치율을 높일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다.

한편 연구책임자인 박시내 교수는 이명 및 난청·인공와우 분야에서 손꼽히는 의학자로 이명 치료와 연구의 세계적인 권위자다.

1999년 국내 최초로 만든 이명 클리닉에서 국내뿐 아니라 해외 환자까지 연간 5만명 이상의 이명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지난 25년 동안 관찰해 보고한 많은 임상 연구 결과물과 지난 10여 년간 지속적으로 진행한 이명의 기전 관련 기초 연구의 결과물을 집대성한 연구로 진행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