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분해주사, 효과 확인 불가
상태바
지방분해주사, 효과 확인 불가
  • 최관식 기자
  • 승인 2024.06.18 13: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문헌 검토 결과 효과 있다 판단하기 어렵다 밝혀

지방분해주사와 관련한 문헌 검토 결과, 일부 연구에서 단기적인 효과를 보고한 적은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장기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이재태, NECA)은 외모개선 목적의 지방분해주사에 대한 안전성과 효과성 평가 결과를 6월 18일 발표했다.

지방분해주사는 뱃살, 옆구리살, 허벅지 등 신체 부위에 국소적으로 축적된 지방을 제거하기 위해 피하지방층에 가스 또는 약물을 주사하는 시술이다.

가스(액화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경우 카복시테라피, 약물을 주사하는 경우는 메조테라피, 다이어트 주사, 윤곽주사, 비만주사 등으로 불린다. 약물은 디옥시콜릭산(DCA), 콜린 알포세레이트(GPC), 아미노필린, 스테로이드, 카페인, 히알루로니다제, 카르니틴, 베라파밀 등 다양한 주사제가 이용되지만 현재까지 약제의 종류, 배합 비율이나 용량, 주사 시기·횟수 등이 명확하게 정해진 바가 없다.

지방분해주사는 의학적 필요성이 낮은 선택비급여 항목인 만큼 비용 및 실제 이용량을 추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다만 정보제공을 위해 의료 가격 비교 웹사이트를 분석해 본 결과, 평균 15만9,682원(최저 4,000원~최고 50만원)으로 확인됐다.

NECA는 지방분해주사의 효과와 안전성 검증을 위해 총 38편의 문헌을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그 결과 일부 연구에서 단기적인 효과를 보고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장기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또 비교를 위해 설정한 가짜 치료 또는 무치료와 차이가 없는 결과도 보고돼 시술 전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기 어려웠다고 밝혔다. 특히 연구에서 보고된 지방분해주사 방법이 사용 약제 및 배합 여부, 용량, 주기 및 횟수 등이 모두 달라 효과를 판단하기에 근거가 부족했다고 덧붙였다.

NECA는 평가에 앞서 NECA 국민참여단을 대상으로 지방분해주사에 대한 설문조사도 진행했다.

조사에 참여한 85명 중 본인 또는 가족이 ‛지방분해주사를 맞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15.3%(13명)였다. 응답자 13명을 대상으로 이어진 조사에서 시술의 계기로는 ‛체중관리/다이어트’가 7명(53.8%), ‛외모 개선’ 목적이 6명(46.2%)으로 나타났다. 효과를 묻는 질문에 4명(30.8%)이 ‛효과가 있었다’고 답했고, 6명(46.2%)은 ‛단기적인 효과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3명(23.1%)은 ‛효과가 없었다’고 했다. 그 외에도 지방분해주사에 대한 궁금한 점을 묻는 질문에 시술 효과와 안전성, 대상, 방법, 주사 종류, 원리, 가격이라고 답했다.

지방분해주사는 주사 부위에 단기적으로 통증, 발적, 멍, 부어오름 등이 발생할 수 있고 균 감염, 피부괴사, 이물육아종, 중환자실 집중치료가 필요한 수준의 급성 중독반응, 약물 두드러기 반응 등의 심각한 사례가 드물게 확인된 바 있다.

보건의료평가연구본부 김민정 본부장은 “현재까지 지방분해주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의사별로 시술법이 다르다”며 “지방분해주사를 고민하고 있다면 효과와 부작용 등에 대해 충분히 확인한 후 합리적으로 선택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지방분해주사 평가보고서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누리집(www.neca.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