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세 이후 땀 나고 호흡 가빠질 정도의 고강도 걷기운동 하면 삽화기억 저하 예방
중년 이후 고강도 걷기운동을 하면 알츠하이머병 관련 인지저하를 늦추거나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이목을 끈다.
알츠하이머병은 노인에게서 가장 흔한 신경퇴행성 질환 중 하나로 기억을 포함한 여러 인지기능이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을 어렵게 만든다.
알츠하이머병 치매 초기에는 특히 삽화기억의 손상이 주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증상개선제 외에 뚜렷한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삽화기억은 정보를 저장하고 회상하는 능력으로, 시간과 공간의 맥락에서 기억되는 것을 삽화기억(episodic memory), 일반적인 지식 수준의 기억을 의미기억(semantic memory)이라 한다.
이 때문에 알츠하이머병은 현재까지 치료보다는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예방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지욱(교신저자)·최영민(제1저자)·서국희 교수, 진단검사의학과 김현수 교수, 외과 김종완 교수 연구팀은 ‘신체적으로 건강한 노인에서 중년의 고강도 걷기와 기억과의 연관성(High-intensity walking in midlife is associated with improved memory in physically capable older adults)’ 연구를 최근 진행했다.
연구팀은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코호트연구에 참여한 65~90세 노인 188명 중 인지기능이 정상인 107명과 경도인지장애가 있는 81명을 대상으로 걷기 활동과 인지기능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걷기 활동으로 인정되는 최소 걷기 시간은 1년 동안 총 32시간 또는 1년 동안 주당 40분 또는 특정 계절 4개월 동안 주당 2시간 수준으로 정의했다.
걷기 활동은 빈도, 시간, 강도, 시작 연령 등으로 분류했다.
걷기활동 시간의 경우 주당 6시간 이상은 ‘장시간(50명)’, 주당 6시간 미만은 ‘단시간(75명)’, 최소 걷기 활동 수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비걷기(63명)’ 그룹으로 나눴다.
걷기활동 강도에 따른 분류는 미국 메이요클리닉의 운동강도 측정 방법에 의해 호흡, 땀, 대화 가능 여부 등에 따라 ‘고강도(57명)’, ‘저강도(68명)’, ‘비걷기(63명)’ 그룹으로 분류했다.
걷기활동 시작 시기에 따라 40~64세에 시작한 경우 ‘중년기 시작(103명)’, 65세 이상에 시작한 경우 ‘노년기 시작(22명)’으로 구분했다.
또한 다양한 영향 변수들을 통제하기 위해 전반적인 신체활동, 식이 패턴을 통한 영양평가, 혈액검사 및 알츠하이머병 관련 유전자검사 등도 진행했다.
분석결과 ‘비걷기’ 그룹에 비해 ‘걷기 활동’ 그룹은 알츠하이머병 관련 인지기능이 더 높았으며 전반적인 인지능력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강도’ 그룹은 ‘비걷기’ 그룹보다 알츠하이머병 관련 인지기능을 포함한 전반적인 인지능력이 우수했지만 ‘저강도’ 그룹은 다른 그룹과 비교해 인지능력에 차이가 없었다.
아울러 중년기에 걷기 활동을 시작한 그룹이 노년기에 시작한 그룹보다 알츠하이머병 관련 인지기능을 포함한 전반적인 인지능력이 우수했다.
반면 걷기 활동 시간은 걷기 강도를 통제한 경우 인지기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김지욱 교수는 “중년기에 땀이 나고 호흡이 가빠질 정도의 고강도 걷기 활동을 한다면 알츠하이머병 인지저하를 늦추거나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걷기가 알츠하이머병 관련 인지저하를 예방하는 정확한 기전인지는 아직 불분명하지만 걷기를 포함한 신체활동은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아밀로이드 베타의 수준을 조절하고 신경가소성을 촉진해 뇌 기능의 퇴화를 막는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이어 “알츠하이머병은 현재까지 효과적인 약물이 부족하기 때문에 신체활동과 같은 생활방식 변화에 초점을 맞춘 예방 및 치료전략이 필요하다”며 “관련 코호트연구 등 알츠하이머병 예방을 위한 생활방식 개선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논문은 알츠하이머병 연구 및 치료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Alzheimer's Research & Therapy(IF 9)’ 8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