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 환자 3명 C형간염 발생
상태바
혈액투석 환자 3명 C형간염 발생
  • 최관식 기자
  • 승인 2016.09.01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질병관리본부, 병원 측의 역학조사 의뢰에 따라 현장 조사.. 의료관련감염 가능성도 배제 못해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건국대학교 충주병원에서 보고된 혈액투석 환자의 C형간염 발생에 대해 역학조사를 실시 중에 있다고 9월1일 밝혔다.

건국대학교 충주병원은 의료기관 자체 감염관리 과정에서 인지된 혈액투석환자의 C형간염 사례에 대해 8월12일 역학조사를 의뢰했으며, 질병관리본부 검토 결과 의료관련감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역학조사 의뢰 당일 충북도청, 층주시보건소, 해당병원 감염관리팀과 합동으로 현장역학조사를 실시했다.

해당 병원의 혈액투석환자 73명 중 새롭게 발생한 C형간염 환자는 모두 3명이다.

혈액투석실 현장 역학조사 및 분자유전학적 분석 결과 새롭게 확인된 C형간염환자 1명과 기존 C형간염환자 1명은 유전형이 2a로 동일하고, 유전자염기서열이 일치함을 8월31일 확인했다.

다만 새롭게 확인된 C형간염 환자 2명의 검체는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아 유전자염기서열 분석이 불가능했다.

혈액투석실 내 손씻기 세면대 부족, 투석시행 구역에서 약물 준비, 응급 시 장갑 미착용 등 감염관리 원칙 미준수가 확인돼 개선 조치했으며, 현장조사 당일 채취한 환경검체 20건에 대한 검사 결과 C형간염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보건당국과 해당 의료기관은 C형간염 및 혈액매개감염병 전파 예방을 위해 감염관리원칙 수행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리 감독할 예정이며, 추가환자발생 모니터링을 위해 C형간염 정기검사 주기를 기존의 6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해 실시할 계획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일선 의료기관의 혈액투석실에서 혈액매개감염병 전파 예방을 위해 손위생, 장갑 착용, 투석시행 구역 외 청결구역에서 약물준비, 환경 청소 소독 등 기본 감염관리원칙이 철저히 준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