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별잠혈검사 1~2년, 대장내시경 3~5년 간격으로
대장용종(폴립)이란 대장점막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자라서 주위의 점막 표면보다 돌출해 혹처럼 형성된 것을 말한다.
용종은 대장 외에도 다른 소화장기 및 점막이 있는 모든 기관에서 생길 수 있다. 대장에서도 흔하게 관찰된다.
대장용종은 어느 연령에서도 발생될 수 있지만 40세 이후에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장용종은 조직의 소견에 따라 선종, 과형성 용종, 염증성 용종 등의 종류가 있다. 이중 선종이 대장암으로 발전한다.
강동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윤진영 교수는 “대장용종의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며 “다만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체질, 유전, 식생활 습관 등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용종의 발생과 성장이 촉진되어 암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腸) 비우고, 아스피린 등의 항응고제 중단해야
용종 진단을 위한 가장 정확한 검사는 대장내시경이다. 용종이 발견되면 바로 조직검사 및 제거가 가능하다.
대장내시경검사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장을 깨끗하게 비워야 하므로 의료진의 안내에 따라 음식을 조절하고 장정결제 복용법을 잘 숙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또한 시술전 자신이 복용중인 약제에 대해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 특히 아스피린 등의 항응고제나 항혈소판 제제 등을 복용 중인 경우에는 약을 처방해주는 담당 의료진과 상의해 시술 3~5일 전에 약제를 중단해야 한다.
용종크기에 따라 치료법 달라
대장용종을 제거하는 방법은 크기에 따라 다르다. 5mm 미만의 작은 용종들은 작은 기구를 통해서 뜯어내거나 전기장치를 이용해 태워서 제거할 수 있다. 5mm 이상의 용종은 대장내시경 중 올가미처럼 생긴 철사를 넣어 잘라낸다.
제거된 용종들은 조직검사를 통해 용종의 구체적인 종류를 판정하고 대장암으로 발전 가능성 위험도 및 이후 대장내시경검사의 기간을 결정하는 근거가 된다. 위험도가 낮고 용종이 완전히 제거되었다면 3~5년 후 검사를 권한다.
다만 용종의 완전제거 여부가 불확실하거나 여러 개의 용종이 있었던 경우 크기가 1cm 이상인 경우는 보다 짧은 기간 안에 검사를 받아야 한다.
만약 제거된 용종의 조직검사에서 암세포가 발견되면 추가적인 검사나 수술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윤진영 교수는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50세가 되면 대장내시경검사를 받아야 한다”며 “분변잠혈검사는 1~2년 간격, 대장내시경검사는 3~5년 간격으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대장암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