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전립선암과 유전적 정보에 대한 전장 유전체 연관분석 연구결과 최초 보고
타고난 개인의 유전적 정보가 전립선암의 치료에 있어서 중요환 열쇠가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전립선암은 서구에서 남성 고형암중 발생률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국가암등록 통계 결과 남성암중 발생률 5위 및 유병률 3위를 기록하고 있을 만큼 많은 환자들이 전립선암으로 진단받아 치료받고 있다. 또한 연간발생률의 증가속도도 모든 암종에서 2위를 차지할 만큼 유병인구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인에서의 전립선암은 발생률이나 악성도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각 개인마다 치료에 대한 반응도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현재 인종이나 사람마다 다르게 발현되는 유전적 차이가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리고 전립선암은 암의 악성도에도 상당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환자마다 동일한 질병진행 과정을 보이지 않는다.
때문에 악성도 확인은 1차로 전립선암의 확진을 위한 조직검사 때와 2차로 수술 후 적출된 전립선 병리검사에서 실시한다. 환자의 최종적인 예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은 수술로 떼어낸 전립선 조직병리검사에서 주어지는 결과이다.
수술 전 조직검사는 전립선의 일부분만 보고 악성도를 결정하지만 수술 후에는 전체 전립선 상태를 보아서 최종 판단하기 때문이다. 또한 수술 전 예측보다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수술 후에 병리검사를 통한 악성도 증가의 확인은 중요한 과정이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비뇨기과 연구팀은 한국인의 전립선암과 유전적 정보에 대한 전장 유전체 연관분석을 통해 전립선적출술 전 조직검사에 비해 수술 후 적출된 전립선 조직에서 병리학적 등급향상(악성도 증가)을 예측할 수 있는 유전적 변이를 최초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기과 변석수·오종진 교수팀은 근치적 전립선적출술을 받은 257명의 저위험 전립선암 환자의 DNA에서 24만2천221개의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을 분석했다.
그 결과 15개의 단일염기다형성이 저위험 전립선암 환자의 수술 후 악성도 증가를 예측하는데 유의한 인자임을 밝혔다.
특히 3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단일염기다형성 rs33999879의 변이가 있으면 수술 전 조직검사에서는 암의 악성도가 낮게 확인됐지만 전립선적출술 후에 확인한 조직검사에서는 악성도가 증가했음을 규명했다.
rs33999879는 세포유사분열시 염색체 응축과 DNA 수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진행된 간암 및 림프종과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rs33999879와 전립선암과의 관련성이 제시된 것은 이번 연구가 세계 최초의 결과이기 때문에 그 의미가 매우 크다.
그리고 이번 연구결과를 활용한다면 '적극적 관찰'(active surveillance)이라는 치료법에 적합한 환자를 선택하는데 유용한 도움을 줄 수 있다.
적극적 관찰은 전립선암 진단에 따라 바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지 않고 상태가 어떻게 진행하는지 정기적으로 검사하다가 정해진 기준을 넘어서면 치료를 개시하는 방법이다. 비교적 천천히 진행하는 전립선암의 특성 때문에 가능하다.
하지만 연구결과와 같이 일부 조직으로 부터의 조직검사 결과를 토대로 수술 적 치료를 지연한다면 실제로는 악성도가 높은 암이었기에 이런 경우는 적극적 관찰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일염기다형성 rs33999879의 변이가 저위험군 환자의 최종 병리검사에서 병리학적 등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번 연구결과는 전립선암 환자 치료에 중요한 기준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전립선암이 확진되어도 느린 진행속도를 고려해 경과를 관찰하면서 치료하는 방법을 선택할지 아니면 유전자 변이로 인해 암의 악성도가 중등급 이상일 수 있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를 선택해야 하는지 구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기과 변석수 교수는 “전립선암수술을 통해 적출한 조직의 최종 병리검사에서 악성도 증가에 유의한 유전자 변이를 발견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나 예후에 대한 예측이 가능해 졌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미래 의학의 핵심 중 하나인 개인 맞춤의학의 적용 가능성을 한국인 전립선암 치료에서 처음 보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적 권위의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이 발행하는 학술저널 '플로스원'(PLOS ONE)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