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오래 뛰는 능력으로 지구지배
상태바
인간, 오래 뛰는 능력으로 지구지배
  • 윤종원
  • 승인 2004.11.19 08: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간이 세상에서 가장 우수한 종(種)이 된것은 큰 뇌보다는 잘 달릴 수 있는 능력 때문이며 이는 먹잇감을 찾아 먼 거리를 달려야 하는 필요성 때문에 일어난 진화의 결과라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 유타대학 데니스 브램블(생물학) 교수와 하버드대학 대니얼 리버먼(인류학) 교수는 영국 과학저널 "네이처"에서 18일 이 같이 주장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신체 구조적 특징 20여 가지를 제시했다.

이들은 스프링처럼 작용하는 다리와 발의 힘줄과 인대, 열을 식히는데 적합한 두개골 구조, 몸의 안정시키는 엉덩이 구조 등 인간 신체의 해부학적 특징들이 달리기에 적합하게 돼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밝힌 달리기에 적합한 특징들은 보폭을 크게 하는 긴 다리와 달릴 때 상체균형을 잡기 편한 짧은 팔뚝, 충격흡수에 좋은 커다란 디스크, 달릴 때 발생하는 열을 발산하기 쉬운 피부와 혈관, 두개골 구조 등 다양하다.

이들은 현대 인류가 유인원과 같은 선조로부터 약 200만~250만 년 전 아프리카 대초원 넓은 지역을 돌아다니며 먹잇감을 사냥하고 음식을 찾아다니기 위해 달리기에 알맞은 신체구조로 진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달리기에 적합한 구조로 진화한 것이 득이 된 것만은 아니다. 원시인류는 달릴 수 있게 됐지만 나무를 잘 타는데 필요한 신체적 특징들은 잃었다.

브램블 교수는 "우리는 원시인류가 나무 위에서 사는 능력을 포기하고 달리는 것을 선택한 것이 현대 인류가 지금과 같은 신체구조로 진화하는 동기가 됐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는 기존의 전통적 이론과는 다르다. 전통적인 이론에서는 달리기 능력에 대해 인류가 최소 450만 년 전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두 다리로 걷기 시작하면서 생긴 부산물로 해석해왔다.

그러나 연구진은 달리기에 적합한 신체적 구조로 진화하는 데에도 수백만 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직립보행의 부산물이라는 이론으로는 이를 설명할 없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