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보건의료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인구 1천명당 임상간호사수가 3.5명으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최하위에 속한다. OECD 평균은 7.2명이다. 또 전체 면허간호사 대비 실제 임상현장에서 간호업무에 종사하는 비중은 50.2%에 그친다. 이처럼 부족한 간호인력이 곧 유연근무제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된 배경이다.
국내 병원 간호사 근무 현황을 보면 평균 이직률이 15.8%며 주요 이직사유로는 3교대 및 야간근무 등으로 인한 불규칙한 근무 시간과 과중한 업무부담 등이 거론됐다.
2021년 보건의료노조의 보건의료산업노동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병원 간호사 근무 형태는 야간전담근무가 0.4%, 2교대 근무가 2.8%에 불과하고 3교대제가 73.3%로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다.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20대와 30대 등 건강과 쉼, 균형있는 삶에 대한 요구가 높은 밀레니얼세대가 78.3%다.
교대근무는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문제 및 업무에서의 오류를 유발하고 수면장애와 스트레스, 그리고 일과 생활의 불균형을 초래해 이직 의도를 높이는 주요인이 된다.
특히 상황에 따른 근무 변경이나 근무를 선택·통제하지 못하는 상황은 일과 생활에도 큰 영향을 준다.
삼성서울병원은 이직률 증가와 숙련된 간호사 부족에 더해 삶의 균형에 대한 요구가 절실하다는 분석에 따라 교대근무 간호사 인력운영 패러다임의 전환 필요성을 절감하고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게 됐다.
삼성서울병원(SMC)형 유연근무제 도입과정을 보면 우선 간호사의 요구도를 조사하고 야간전담근무 확대를 위한 적정인원 확보와 12시간 2교대 유지 및 확대 등 다양한 고정 근무제도를 마련했다.
이어 13개 병동 390명이 참여하는 SMC형 유연근무제 도입 및 1차 시범운영을 거쳐 35개 병동 900명으로 규모를 확대했다.
전체 교대간호사 대상 설문을 통한 간호사 근무형태 요구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64%가 고정근무제를 선호한다고 답했다.
또 다양한 근무형태를 선택할 경우 가장 선호하는 근무로는 N전담(59%), 2교대(57%)로 나타났다. 다만 경력과 결혼 여부에 따라 선호하는 근무 형태가 달랐다.
4년 이하의 저년차는 자기 계발과 휴식의 질을 중시해 2교대 또는 N전담을 선호하는 반면 8년 이상의 고년차는 D고정과 D/E고정을 선호했고, 기혼자는 D고정, 미혼자는 N전담과 2교대 근무를 원했다.
교대근무 개선의 핵심은 야간전담제 확대로, 충원이 전제가 돼야 했다. 이를 통해 야간근무 일수가 1인당 월 0.9일 단축되는 효과를 얻었다.
12시간 2교대 도입은 시범운영을 통해 만족도를 파악하고 점진적 확대 및 지속 보완이 이뤄졌다. 2교대 근무는 간호의 연속성이 증가하고 업무효율화에 기여하며 개인의 휴일 수 증가, 본인 스케줄 예측 가능, 출퇴근 비용 감소 등의 장점도 잇지만 D근무에 업무가 집중되고 공지 파악의 어려움과 함께 개인적으로 체력적 부담과 전체 교육 참여의 어려움 등 단점도 있어 선택 가능하도록 포함해 시도했다.
1차 시범사업 결과 만족도는 3.1에서 3.8로, 예측가능성은 2.7에서 3.7로 상승했고 만성피로와 워라벨, 이직 의도 또한 긍정 변화가 있었다.
다만 병가 등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스케줄 변경이 잦고 갑작스런 결원에 대비한 긴급 대체 인력 확보 등 근무 안정화 필요성이 컸다. 참여 지속 희망 여부는 83%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경력 5년 이상, 다수 병동 지원이 가능한 경력과 역량을 보유한 간호사로 에이스팀(Acknowledged Care Expert Team, ACE팀)을 운영함으로써 갑작스러운 변동 상황에도 유연근무제 지속 가능성을 확보했다.
에이스팀은 결원이 발생해 결원현황 신고를 하면 병동과 중환자 간호사 요일별 근무조를 확인 후 부서에서 전산으로 직접 신청을 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에이스팀 간호사에게는 일정 시간에 자동으로 배치부서 알림문자가 전송된다. 에이스팀 간호사가 결원인원보다 많을 경우에는 중증도 등을 고려해 기 선정된 부서에 오버인력으로 근무하게 한다.
2차 유연근무제 시범사업에서도 근무형태 만족도와 피로도, 일과 삶의 균형, 이직 의도에서 유의하게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처럼 2차에 걸친 시범사업을 통해 유연근무제의 효과를 확인한 후 전 부서로 확대했다. 그 결과 참여 비율이 증가하고 이직률이 감소하는 효과를 거뒀다.
특히 2교대근무 간호사가 3교대근무 간호사보다 피로도나 오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일과 삶의 균형, 일과 성장의 균형, 일과 삶에 대한 전반적 평가가 높았다.
유연근무제 지속 조건은 개인의 요구와 부서의 특성, 병원 지원과 부서장의 리더십이 한데 어우러져 유연하고 적합한 근무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근무환경 개선이 지속돼야 한다.
개인은 경력과 결혼 여부에 따른 선호 근무의 차이가 있고, 팀원 간 소통과 배려가 필요하다. 또 부서의 특성에 따라 간호 업무 강도에 차이가 있고 근무자 경력과 인력 상황에 따른 차이가 근무형태 설정에 반영돼야 한다. 병원은 적정 인력을 유지하고, 변동 사항에 대한 대응 인력을 확보해야 하며, 지침과 전산시스템 보완 및 효과 평가와 성공사례 공유 등을, 부서장은 신뢰에 기반한 소통과 배려 문화 조성, 추진 의지가 뒷받침돼야 한다.
또 추가인력 배치와 강한 추진력에 기반한 소통의 리더십, 지속적 관심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