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협, ‘허가특허연계제도 필요성’ 정책건의 나서
상태바
제약협, ‘허가특허연계제도 필요성’ 정책건의 나서
  • 박해성 기자
  • 승인 2014.12.10 14: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경호 회장, “특허도전 장려로 제네릭 시장진입 앞당길 것”
한국제약협회(회장 이경호)가 내년 3월 시행을 앞둔 허가-특허 연계제도와 관련해 ‘우선판매품목허가 필요성’을 강조하며 정책건의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특허에 도전한 퍼스트 제네릭에 대한 1년간의 독점 판매권을 부여하는 ‘우선판매품목허가’에 대한 논란이 일며 국회에서 이를 삭제코자 하는 움직임이 있자 제약협회가 그 필요성을 강조하며 정책건의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제약협회는 12월10일 오전 기자간담회에서 한미 FTA 체결 과정에서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 도입을 반대한 이유는 다국적사의 특허 보장을 강화하고 제네릭의약품의 시장진입 지연에 따른 국가적 피해가 막대했기 때문이라며  ‘우선판매품목허가’는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선판매품목허가’를 통해 제약기업의 특허도전을 장려함으로써 국민의 약값 부담을 경감하고 의약품 선택권을 확대하며, 제약기업의 기술개발 촉진기회를 가져올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경호 제약협회장은 “우리나라 제약계는 PICS 가입, R&D 주력 등 제약산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며 “특허 무력화를 위해 많은 투자를 한 퍼스트 제네릭의 독점판매권을 주어 국내 제약계 발전을 도모하자는 것이 제약계의 공통된 의견이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기술개발과 노력에 대한 보상은 당연히 인정돼야 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국내 제약기업의 글로벌화를 더욱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라고 역설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