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비뼈 사이 3cm 절개, 3D카메라로 시야 확보 용이
공로 인정받아 국내 의사 최초로 내시경심장 수술전문의클럽 등재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유재석 교수가 국내 최초로 최근 500번째 3D 완전내시경 최소침습 심장수술을 달성했다.
전통적인 심장 수술이 가슴 정중앙을 절개해 뼈를 벌리고 진행했던 것에 반해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갈비뼈 사이를 6~8cm 절개해 맨눈 혹은 2D내시경 카메라로 전송되는 화면을 보며 시행하는 최소침습 심장수술을 많이 하고 있다.
하지만 집도의가 볼 수 있는 시야가 어둡고 좁아, 2D카메라의 특성상 원근감과 거리감을 느끼기 어려워 많은 훈련이 요구된다.
반면 3D완전내시경 최소침습 심장수술은 기존의 최소침습 수술법보다도 더 작은 3~4cm 정도만 절개해 3D카메라가 달린 내시경을 집어넣은 다음 카메라가 전송해주는 3D화면을 특수안경을 낀 집도의가 보면서 손을 대신할 기구를 잡고 수술하는 방식이다.
집도의가 신체 내부의 거리감과 두께감을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고, 밝은 화면으로 송출이 가능하며 수술실에 있는 다른 의료진 역시 특수안경을 끼고 같은 화면을 보고 수술을 진행할 수 있어 교육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지난 2017년 데모장비로 국내에서 최초로 심장 판막 수술에 3D내시경을 도입한 유재석 교수는 2018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3D완전내시경 최소침습 심장수술을 시행해 6년 3개월 만에 500례 달성이라는 쾌거를 이뤘다.
500례 수술은 판막수술, 심장 종양수술, 심방중격결손수술, 심방세동수술 등이 필요한 환자였지만 개흉수술로 진행할 수 있는 대부분의 심장수술을 3D완전내시경 최소침습 심장수술로 가능했다.
다만 여러 혈관을 연결하는 심장이식과 같이 수술 부위가 넓은 경우에는 적용이 어렵다.
특히 전통적인 개흉수술보다 환자들의 회복 속도는 확연히 빨랐다.
환자의 병력이나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환자들은 평균 4~5일 만에 퇴원할 수 있었고, 개흉수술은 가슴뼈가 붙을 때까지 몇 개월씩 걸렸지만 3D완전내시경 심장수술은 가슴뼈 절개가 없어 환자들이 퇴원 후 바로 일상생활로 복귀함은 물론, 활발한 상체 운동이 필요한 테니스나 골프 등의 여가활동도 가능했다.
완치율은 기존 수술과 대비해 차이가 없었다. 3D완전내시경 최소침습 심장수술의 빈도가 가장 높았던 승모판막성형술의 경우 수술 성공률은 99%로 통상적인 개흉수술과 비슷했고, 가슴뼈를 열고 닫지 않아 수술 마취 시간도 30~40분 정도로 단축됐다.
유재석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는 “고령화 사회가 됨에 따라 퇴행성 심장질환으로 수술이 필요한 환자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3D완전내시경 수술은 최소침습 심장수술 중에서도 절개부위가 가장 작아 환자들의 신체 부담은 적고 회복이 빠르다”고 말했다.
이어 유 교수는 “또 다른 최소절개 심장 수술 방법인 로봇수술은 콘솔을 조작하는 의사와 환자 옆에서 보조하는 의사까지 2인의 전문의가 필요하지만, 3D완전내시경 최소침습 심장수술은 투입되는 의료진을 최소화할 수 있고 3D카메라가 달린 내시경 한 대만 추가돼 로봇 심장수술보다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수술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유재석 교수는 3D완전내시경 최소침습 심장수술 500례 달성 기록과 꾸준한 연구 공로를 인정받아 최근 내시경심장수술전문의클럽(Endoscopic Cardiac Surgeons Club)의 국내 첫 멤버로 등재됐다.
내시경심장수술전문의클럽은 최소침습 심장수술이 가장 먼저 시작된 유럽의 의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됐으며, ‘내시경 심장수술’ 교과서를 발행하는 등 최소침습 심장수술 분야를 세계적으로 이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