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고난이도 소장이식 성공 등 국내 최다 수술기록 달성
지난 1963년 3월25일 서울 명동소재 성모병원에서 만성 신부전증 환자에 대한민국 최초의 신장 이식 수술을 성공시킨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가 50주년을 맞았다.
장기이식을 성공하기 위해서는 작은 혈관이 막히지 않게 혈액을 통과하게 하는 봉합기술과 수술 후 이식한 장기가 거부반응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면역억제기술이 필요하다.이 때문에 이식은 인류가 꿈꾸어 왔지만 실현하기 힘든 난제로 알려져 왔었다. 1950년대 세계적으로 혈관 외과술과 이식면역이 획기적으로 발전하면서 장기이식 분야도 태동을 시작하고, 1954년 미국에서 일란성 쌍둥이에서 세계 첫 번째 신장이식이 성공했다.
대한민국 장기이식의 시작과 발전대한민국은 한국 전쟁 이후 1960년대 들어서야 미국 등 선진국에서 의학 수련을 마친 국내 의학자가 신의료기술을 임상에 적용하기 시작하는 단계로 의학의 꽃인 장기이식 수술을 따라가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러던 중 1969년 3월25일 명동 성모병원에서 만성 신부전증을 앓았던 환자의 국내최초 신장이식이 성공한 것. 이는 세계최초의 신장 이식수술 이후 15년 만에 이뤄진 일로 당시의 의학 수준으로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는 역사적인 도전이었다.
1960년대 가톨릭의대 이용각·민병석 교수는 국내에서의 장기이식을 대비해 동물을 이용한 신장·간이식 연구와 혈관외과 술기 연습이 활발히 진행했다. 이러한 기초연구와 동물연구는 국내 최초의 장기이식이 가능하게 된 원동력이 됐다.
1972년 이식수술 후 거부반응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면역억제제가 스위스에서 개발된 이후, 우리나라 장기이식 분야도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1979년 1월 뇌사자 신장이식수술, 1988년 3월 뇌사자 간이식, 1992년 11월 심장이식, 1996년 7월 폐장이식, 2004년 4월 소장이식수술, 2011년 7개 다장기이식, 2014년 간을 제외한 소화기계 6개 장기 변형다장기이식이 국내 최초로 성공했다.이와 더불어 이식 건수도 증가해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 자료에 따르면 2001년 1,370건에서 2018년 4,116건으로 조사됐다. 이가운데 간이식은 2002년 364건에서 2017년 1,482건으로 급증했다.
1990년대 초까지 간암 환자가 간 이식에 성공해도 5년 생존율이 30~40% 정도였지만 2000년대 들어 간이식 생존율이 증가해 2017년 3년 생존율은 뇌사자이식이 72.57%, 생체간이식이 83.33%로 2002년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어다. 이는 최근 혈액형이 맞지 않거나 이식이 불가능한 말기 간질환자까지 간이식 영역이 확대되며 새로운 삶을 선물한 결과이다.
가톨릭대학교 장기이식의 역사는 한국 장기이식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 최초로 신장이식을 성공한 후 강남성모병원과 서울성모병원을 거치면서 장기이식분야를 선도해 왔다. 1983년 국내 최초 동종골수이식, 1993년 뇌사자로부터의 간이식, 1995년 심장이식, 1996년 신장과 췌장 동시이식, 2002년 골수이식 후 간이식 등을 성공시켰다. 2004년 고난이도 이식 수술인 소장이식, 2012년 신장과 조혈모세포를 동시에 이식, 2014년 간 제외 소화기계 6개 장기 변형다장기이식 모두 국내 최초로 성공시켰고, 지난해 국내 소장이식 최다 수술을 달성했다.또한 서울성모병원에서 신장이식 수술로 새 생명을 얻어 30년 이상 건강한 생활을 하고 있는 환우는 20명, 20년 이상은 188명이다. 이 중 신장이식 후 가장 오래된 환자는 94차로 이식을 받은 84세 남성 환자로 38년을 경과했다. 간이식은 1993년 처음으로 시행한 56세 남성 환자가 26년째를 삶을 영위하고 있다.
서울성모병원 개원과 장기이식센터
2009년 서울성모병원 개원과 함께 장기이식센터가 중점육성센터로 지정되면서 장기이식에 특화된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센터는 이식환자만을 위한 중환자실, 수술실, 병동, 특히 외래 공간을 분리 운영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감염에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 이식환자를 위해 대기시간이 길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타과 환자들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차별화된 병원 환경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식 환자를 위한 전문 의료진과 각 장기 별 코디네이터의 밀착지원 시스템으로 이식 환자와 기증자를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서울성모병원의 장기이식은 난치성 이식영역에 도전하여 이식의 이정표를 마련했다. 지난 2015년에는 위장관희귀질환 소아에게 뇌사자의 장기 6개를 동시이식하는 국내 최초 변형다장기이식 수술에 성공했다. 또한 백혈병과 만성신부전을 동반한 환자에서의 동시이식, 재생불량성빈혈환자의 신장이식, 간과 신장 동시이식, 골수 이식 후 간 이식 등 고난도 장기이식이 성공함에 따라 병원의 위상도 같이 상승하고 있다.
서울성모병원 신장이식 3,000례 돌파장기이식센터 신장이식팀은 지난해 8월 3,000례를 기록했으며, 이 중 2009년 5월 처음으로 성공한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은 200건을 넘었다. 과거 공여자와 수혜자의 혈액형이 부적합할 경우 이식 후 초급성 항체매개성 거부반응의 발생 위험 때문에 이식이 불가능 했다. 하지만 거부 반응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항체 주사와 혈장 반출술의 개발로 혈액형 부적합 이식이 가능해졌다. 이로써 가족 중 혈액형이 부적합하여 이식을 포기했던 말기 콩팥병 환자들이 이식의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식신장 생존율 10년 생존율은 70년대 25%에서 2010년대 92%으로 이식 성적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혈액형부적합이식의 이식신장 2년생존율은 92% 혈액형 적합이식 91%와 비교해도 차이가 없었다.
서울성모병원 간이식 성공률 95% 달성, 미국보다 앞서서울성모병원 간이식팀은 지난해 이식 수술 1000건을 돌파하였고, 간 이식 성공률 95%를 달성하였다. 이는 국내 평균 89.5%를 훨씬 웃도는 수준으로, 미국 UCLA 의대병원 85%, 피츠버그 의대병원 82%보다도 크게 앞선 수치이다.
간이식 환자의 1년 생존율은 85.5%, 10년 생존율은 68.7%이다. 간이식팀은 수혜자와 기증자 팀으로 나누어 수술함으로써,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고 있고, 외과, 소화기내과, 영상의학과, 감염내과, 병리과 등 최고의 의료진들로 구성된 다학제 협진시스템으로 1,120례의 수술을 성공으로 이끌고 있다.
2002년 4월에는 세계 최초로 골수 이식 후 간이식에 성공하여 면역억제제 복용을 중지하였으며, 2010년부터는 혈액형 불일치 간이식을 시행하여 위급한 상황에서 간기증자를 찾지 못해 안타까운 환자들의 이식을 가능케 했다. 또한 수혜자에게 이식하기에 크기가 작은 기증자의 간으로도 회복이 가능한 이식도 성공하는 한편, 기증자들의 회복시간과 미용을 고려하여 수술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복강경 수술기법을 통한 수술부위 상처크기 최소화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국내최초·국내최다 서울성모병원 소장이식팀
장기이식센터 소장이식팀은 지난해 17번째 수술을 성공하며 국내 최다 수술 기록을 세웠다. 소장이식 수술은 다른 장기에 비해 면역거부반응이 강해 면역억제제를 강하게 사용해야 하고, 그 결과 면역력이 극도로 떨어져 장기이식 중 가장 어려운 외과수술 중 하나로 꼽힌다. 2004년 국내 최초 생체 소장이식성공, 2008년 국내 최초 뇌사자 소장이식 성공으로, 이식 후 1년 생존율 75%, 5년 생존율 45%로 외국과 비교하여도 높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2012년에는 위암 투병 후 단장증후군으로 고통 받던 71세 국내 최고령 환자의 소장이식을 성공리에 마쳤고, 2014년에는 위장관 거짓막힘증을 앓고 있던 2세 소아에게 4세 뇌사아의 소화기계 장기 6개를 동시이식하여 현재까지 건강한 생활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 다장기이식을 드물게 시행한 적이 있지만, 간을 제외한 변형다장기이식에 성공한 것은 국내에선 최초로 의료선진국과 비견되는 성과이다.
서울성모병원은 2009년 보건복지부 지정 선도형 특성화사업단에 선정돼 이식면역과 관련된 중개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으며 최신 연구결과도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팀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시키는데 기여했다. 사업단은 조혈모세포이식과 신장이식의 동시이식을 통한 면역관용유도, 간이식환자에서 면역조절 키트개발, 만성거부반응환자에서 줄기세포임상, 이식 후 난제인 BK바이러스와 CMV(거대세포바이러스) 백신개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미세혈관병증의 진단패널 개발, 세포유리 DNA를 이용한 급성거부반응 진단법개발, 차세대 유전체등 장기이식에 정밀의학을 도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장기이식센터장 양철우 교수는 새로운 반세기를 맞이하며 “장기이식 수술 외에는 생명을 유지할 별다른 방법이 없는 환자와 보호자의 희망이 되기 위해 앞으로도 많은 의료진들과 최선을 다할 것이며, 임상과 기초연구가 융합된 이식면역 중개연구에 박차를 가하여 새로운 이식영역 도전, 우수한 연구인프라 구축,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센터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초 장기이식 50주년 기념행사한편 서울성모병원과 가톨릭중앙의료원은 ‘대한민국 최초 장기이식 50주년 기념주간’ 행사를 개최했다.
3월25일 오전 서울성모병원 지하 1층 대강당에서 환자, 보호자, 교직원과 함께 국내최초 장기이식 50주년 기념식이 진행됐다. 뇌사장기 기증자를 위한 묵념 후 대한민국 최초 장기이식 보고가 있었다. 장기이식 발전선포에 이어서 서울성모병원장 김용식 교수의 축사와 가톨릭중앙의료원장 문정일 교수의 격려사가 이어졌다.
2층 장기이식센터에서는 지난 50년 동안 생명을 살리기 위해 헌신한 의료진의 노고에 감사하고 역사를 기억하고자 故 이용각, 故 민병석, 김부성, 김인철 교수 등 23명의 명예교수와 원로교수의 이름을 새겨 제작한 기념동판 제막식이 이어졌다. 이요섭 수석영성부원장 신부의 집전으로 이어진 축성식에는 문정일 의료원장, 김용식 병원장, 이 남 행정부원장 신부 등 주요 보직자와, 서울성모 장기이식센터 간이식 환우회 박순범 ‘동인회’ 회장 등 환자와 보호자, 교직원이 함께 했다.26일 오후 2시에는 병원 지하 1층 대강당에서 장기이식센터장 양철우 교수의 ‘장기기증과 나눔’을 주제로 한 인문학 강좌가 열리고, 27일 오후 12시에는 병원 1층 성당에서 기증자와 유가족의 숭고한 뜻을 기리기 위한 가톨릭미사가 봉헌된다.
병원 로비에서는 28일 오후 1시 가톨릭의대 오케스트라 ‘예향’의 기념음악회가, 29일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장기기증희망등록 캠페인이 펼쳐진다.행사 기간 동안 병원 로비와 2층 장기이식센터 앞에서는 가톨릭중앙의료원 장기이식 50년 역사를 되돌아보는 동영상이 상영되고 사진전도 예정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