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 땀 많이 흘리면 뇌졸중 위험 높아져
상태바
무더위 땀 많이 흘리면 뇌졸중 위험 높아져
  • 박해성 기자
  • 승인 2015.08.10 09: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폭염, 뇌졸중 포함한 신경계질환에 악영향
실내외 기온차나 스트레스 때문에 혈압 높아지기도
은퇴 후 고향인 충남 아산으로 내려가 농사를 지으며 생활하고 있는 이 씨(68세, 남)는 최근 온열질환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평소 고혈압이 있었기 때문이다. 낮 시간대의 하우스 작업은 물론이고, 평소 즐겼던 마을회관 방문도 삼갔다. 식사는 육류나 기름기가 많은 종류의 음식을 배제한 적은 양의 상차림을 위주로 하고, 입맛에 자극적인 음식보다는 수분이 충분한 과일과 채소류를 눈에 잘 띄는 곳에 두어 간식처럼 먹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혹시나 건강에 이상이 생기지 않을까 걱정된다는 이 씨는 조만간 병원을 찾아 자신의 상태를 점검해 보기로 했다.     

■온열질환 속출…신경계질환 사망률 가장 높아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3년 폭염특보 발령 기간인 6월~8월 동안 1천200여 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14명이 사망했다. 올해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폭염이 이어지면서 온열질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집계 결과 지난 5월말부터 8월 현재까지 616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고, 사망자도 7명에 달했다.

폭염에 가장 취약한 것은 역시 노약자다. 나이가 들수록 땀샘의 기능이 떨어져 체온관리에 어려움을 겪으며, 또한 더위로 인해 혈압 변화가 심해지면 만성질환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무더위는 체내의 수분을 급격하게 배출해 혈액의 질을 떨어트리고 혈압 변화를 유발하며, 더위로 인한 스트레스를 발생시켜 인체 기능성을 저하시킨다. 무더위의 영향을 받으면 심혈관계, 호흡기계 질환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신경계 질환이 문제가 된다. 1992년부터 2009년까지 서울 지역 폭염 기간 사망자 분석자료를 보면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전체 폭염 사망자의 1.48%, 호흡기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전체 폭염 사망자의 0.86%를 기록했으나 신경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3.06%에 달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뇌질환, 척수질환, 면역질환 등 다양한 질환을 아우르는 신경계 질환에는 우리 국민 사망 원인 2위인 뇌졸중이 포함된다. 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과 뇌혈관이 손상돼 터지는 뇌출혈 등이 뇌졸중에 속한다. 뇌혈관에 이상이 생기면 뇌로 가는 산소 및 혈관의 흐름이 멈추거나 더뎌진다. 이 때 뇌신경이 훼손되면 사망에 이르거나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는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중풍이나 치매가 대표적인 예다.

■경동맥내중막두께 검사 등으로 뇌질환 예측 가능
한림대 성심병원 신경과 연구자료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뇌졸중 발생에 있어 가장 위협적인 위험인자는 58.3%의 위험성을 가진 고혈압이다. 평소 고혈압 이력이 있었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무더위로 인해 혈압 변화가 있지 않은지 지켜봐야 한다.

더위는 그 자체로 혈압 변화를 유발한다. 체온조절을 위해 땀을 흘리다보면 혈액 내 수분 함량이 줄어들어 혈압이 높아지는 것이다. 땀 때문이 아니라도 기온차나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혈압이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지나치게 낮은 온도의 실내에 있다가 갑자기 고온의 실외로 나가면 혈관 표면이 수축해 혈압 변화를 일으킨다. 스트레스 역시 혈관을 수축시키는 원인이다.

뇌졸중의 경우 혈관이 50% 이상 막힐 때까지도 자각증세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선제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뇌로 가는 산소 및 혈액의 80% 이상이 지나는 목 양쪽의 혈관 경동맥은 뇌졸중 등 뇌질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지표다. 최근 경동맥내중막두께가 0.1mm 두꺼워질수록 경도 인지장애나 치매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초음파를 통해 경동맥내중막두께를 측정했을 때 한국인의 경우 1.7mm 이상이면 동맥경화 진달을 내릴 수 있으며, 뇌졸중 발생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본다. 이 밖에 MRA, CTA, 뇌혈류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혈관이 얼마나 좁은 상태인지를 검사해보는 것도 뇌졸중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다.

H+양지병원 강석재 과장은 “여름철 뇌졸중 발생 비율은 겨울보다 낮지만, 경동맥 협착증이 있거나 뇌동맥의 협착증이 있는 경우에는 탈수현상에 의한 뇌졸증의 비율이 겨울보다 여름에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며 “보건 당국이 요청하는 건강 수칙을 잘 따르고 평소 만성질환이나 가족력·병력이 있었다면 미리 병원을 찾아 본인의 건강 상태를 체크해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료제공 : H+양지병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