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성 탄수화물 과다섭취가 건강위협
상태바
국내여성 탄수화물 과다섭취가 건강위협
  • 박현 기자
  • 승인 2011.01.17 17: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상체중 여성도 탄수화물 섭취 많으면 대사증후군 위험 2배 이상 증가

체중만 적정하면 고혈압 및 당뇨에 걸릴 위험이 없을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이는 의학적으로는 잘못된 상식이다. 흔히 정상체중인 경우도 비만 관련 질환, 즉 높은 혈압, 이상지질혈증, 높은 혈당 등의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건강증진센터 박민선 교수팀은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국제 학술지에 게재했다.

20세 이상 3천50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에서 정상 체질량지수(BMI 18.524.9kg/m2)를 가진 사람들이 간식을 먹지 않는 사람에 비해 간식을 자주 할수록, 탄수화물 섭취가 적을수록, 단백질 섭취가 적정할수록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일부 사람들은 고기와 기름진 음식은 지방섭취가 많아 대사성 질환을 일으킨다고 생각해 지나치게 고기와 지방류 음식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 의하면 정상체중인 남성은 지방이건 탄수화물이건 대영양소의 차이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이 큰 차이가 없었던 반면, 여성의 경우는 탄수화물 섭취가 많을수록 단백질 섭취가 적을수록 정상 체중이라고 하더라도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증가했다.

현재 한국 영양학회에서는 총 칼로리의 55-70%를 탄수화물, 7-20%를 단백질, 10-25%를 지방으로 섭취하기를 권고하고 있는데, 이번 연구에서 정상체중 여성은 탄수화물 섭취가 59.9% 이상인 경우에 그 이하로 탄수화물 섭취를 하는 군에 비해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2.2 배 증가했다.

박민선 교수는 “이 결과는 일반적으로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전통적인 한국식의 대영양소 비율이 총 열량의 65-70% 정도가 탄수화물인 것을 감안할 때, 정상체중 여성 군에서는 전통적인 한국식에서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단백질 섭취를 좀 더 늘려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또한 단백질을 총 칼로리의 17.1% 이상 섭취한 군에서 총 칼로리의 12.2%를 단백질로 섭취한 군보다 대사 증후군의 위험을 40% 감소시켰다.

한편 탄수화물 섭취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간식이 대사증후군의 증가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간식의 종류 중에서도 낙농제품이나 가열 조리한 간식 보다는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간식(예를 들면 과자, 빵, 케이크, 떡, 국수, 과일, 과일주스 등)을 섭취할 때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30% 가량 증가했다.

박민선 교수는“이번 연구에서 정상체중 여성에서는 탄수화물 섭취가 지나친 것이 대사 증후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탄수화물 적정 섭취의 기준을 좀 더 낮추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