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종양외과학회, 연구비 4천만원 지원
상태바
대한종양외과학회, 연구비 4천만원 지원
  • 박현 기자
  • 승인 2015.05.26 07: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호성 이사장, "학회가 이런 일을 열심히 해야 한다"
제약사나 의료기기 업체의 도움을 받지 않고 학회 스스로 연구자주도 임상연구를 위한 연구비 지원에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5월23일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열린 대한종양외과학회 연수강좌에서 제1회 '대한종양외과학회 연구비 공모' 연구계획을 발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번 공모에는 전북의대 윤현조 교수를 중심으로 '유방암생존자 그룹을 어떻게 치료하느냐'를 연구하는 주제를 비롯한 연세의대 백승혁 교수가 '진행하는 전이된 암에서 논쟁이 되는 것을 해결하는 연구', 이화의대 이현국 교수가 '연구하는 유전자 연구로 항암치료를 방해하는 물질연구' 등 6개의 주제가 발표됐다.

특히 다학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고려의대 이창민 교수가 연구하는 암환자를 치료할 때 내과 항암치료의사와 외과의사, 내과와 외과가 협조해 치료할 때 어느 쪽이 더 환자의 삶의질이 높은지를 비교연구하는 주제도 나와 관심을 모았다.

6개의 주제 가운데 심사를 통해 선정된 2개의 주제에 대해선 각각 2천만원의 연구비 지원을 받게 된다.

학회 한호성 이사장은 외국은 연구자중심 임상연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많은데 우리나라는 많지 않다고 아쉬워 했다.

한 이사장은 “연구를 하고 싶어도 돈이 없어 못하는 의사들이 있다. 종양외과학회가 후원자가 되고 싶어 이번 공모를 기획했다. 이번에 발표하는 연구들을 보니 훌륭한 연구들이 많다”며 “대부분 다기관연구가 중심이 된 것으로 보인다. 적게는 몇 개에서 많게는 39개 병원까지 참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또 “다기관연구가 많은 것은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연구자들이 서로 만날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며 “교수들이 종양연구를 통해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또 다기관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2천만원의 연구비가 적은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한 이사장은 제약회사 등과 매칭을 해 지원할 수 있지만 순수한 학회 차원의 연구자주도 임상연구에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회사가 원하는 결과 도출이나 연구결과에 대한 바이어스를 최소화해 그야말로 연구자중심 임상연구로 자리 잡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한편 이날 열린 연수강좌에서는 외과의사가 하는 항암치료를 비롯한 외과수술과 유전학의 최신지견, 외과에서의 debatable issue 등으로 구성됐다.

한편 대한종양외과학회는 종양에- 대한 효율적인 진단, 치료 및 예방에 대한 임상연구의 발전을 추구하기 위해 2005년에 대한대장항문학회, 대한위암학회, 한국유방암학회가 주축이 돼 설립됐다.

이후 대한간담췌외과학회 및 암질환을 다루는 기타 학회의 회원가입이 증가하면서 현재는 약 800명의 회원이 참여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