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의료 현대화 지원 '서울프로젝트' 제안
상태바
몽골의료 현대화 지원 '서울프로젝트' 제안
  • 전양근 기자
  • 승인 2011.08.23 06: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몽 보건의료 협력 약정 체결

한ㆍ몽 보건의료협력약정 체결
이명박 대통령과 함께 중앙아시아 순방에 나선 진수희 장관은 8월22·23일 이틀간 첫 순방지인 몽골에서, '보건의료협력을 위한 약정체결' 및 한·몽 보건부장관 회의를 통해 양국 보건의료분야 협력기반을 보다 강화시켜 나가는데 합의했다.

이번에 체결한 약정은 몽골 의료인력 인프라 구축을 위한 '서울 프로젝트' 추진과 민간의료기관 진출을 위한 진입장벽 완화 등 구체적이고 가시적인 협력내용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복지부는 몽골의료 현대화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서울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한국형 IT기반 병원시스템, 몽골 의료인 장단기 임상연수, 의과대학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협력사업을 시행할 계획이다.

현재 실무차원에서 의료기술전수분야, 연간 교육대상 규모, 세부교육프로그램, 시행기관, 재원부담, 시행시기 등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중이며, 이 프로젝트가 시행 몽골 의료선진화 도약의 계기가, 우리로선 몽골 진출 민간의료기관의 우수현지인력 확보 및 한국 의료브랜드 확산 거점확보의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양국 보건부 장관은 정상회담에 앞서 개최된 양자회의를 통해 상호 관심의제들에 대해 추가적인 협의를 진행했다.

한국은 몽골 진출 민간의료기관들의 주요 애로사항인 의약품, 의료기기 통관 간소화 및 국내의사면허인정 기간연장 등을 요구했고, 삼부 몽골 보건부장관은 한국 의약품, 의료기기의 수입조건 완화를 위해 최대한 노력하며 의사면허 기간연장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몽골 정부는 자국 내 '치료 불가능'으로 분류된 골수이식, 간이식, 뇌종양 수술 등 27개 중증질환 환자에 대한 진료비 혜택’ 등 한국의료기술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방안검토를 요청하였다.

진수희 장관은 이에 대해 한국 내 몽골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우리나라 의술과 의약품에 대한 몽골의 신뢰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몽골 환자들에게 최상의 의료서비스와 의료혜택 제공을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진 장관은 이외에도 몽골현대병원 기공식, 한·몽 보건의료관계자 격려 간담회, 몽골 국립 제3병원의 U-헬스 센터 및 울란바타르 송도병원 방문 등의 일정을 소화했다.

복지부는 한ㆍ몽간 보건의료분야의 협력수준을 한단계 끌어올린 것으로 평가하면서, 우리나라 우수 의료기술 전수와 의료인력 교류를 통해 한국의료의 브랜드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