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터널증후군과 달리 약지와 새끼손가락에 통증 주로 발생해
수면 시 팔베개를 하거나 잠시 엎드려 쪽잠을 자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럴 때 팔꿈치 안쪽에 통증이 생기거나 네번째와 다섯번째 손가락에서 저림 증상이 심해진다면 팔꿈치 신경이 눌리는 팔꿈치터널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은 주관증후군이라고 불리며 손목터널증후군과 마찬가지로 팔꿈치 신경이 눌려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팔에는 정중신경, 요골신경, 척골신경이 분포해 있다.
이 중 척골신경은 손으로 가는 중요한 신경 중 하나로, 복잡한 작업 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척골신경이 팔꿈치 뒤쪽의 인대와 구멍 사이를 지나갈 때 터널이 좁아져 신경이 압박되는 질환을 주관증후군이라고 한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은 평소의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이 생기는 이유는 과도한 팔꿈치 사용으로 인한 퇴행성 변화, 선천적인 근육 이상으로 척골신경의 불안정성 발생, 팔꿈치 관절을 장시간 굽히는 생활습관 등이 있다.
이에 팔꿈치 관절을 과하게 굴곡 시키는 것이 원인이므로 턱을 괴거나 팔꿈치를 구부린 채 장시간 PC를 이용하는 자세, 책상에 기대고 일하는 등 잘못된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이 발생하면 팔꿈치 통증과 함께 4번째와 5번째 손가락이 잘 펴지지 않게 된다.
이는 1~3번째 손가락에 통증이 있는 손목터널증후군과 차이점 중 하나다.
또한 팔꿈치와 약지, 새끼손가락이 저릿저릿한 증상과 함께 손에 힘이 빠져 물건을 떨어트리는 경우도 생긴다.
손의 대부분의 소근육이 척골 신경의 통제를 받기 때문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능력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을 방치할 경우 손가락 근육이 감소하고 앙상하게 말라보일 정도로 악화할 수도 있다.
초기 팔꿈치터널증후군은 잘못된 생활습관 개선, 약물치료, 고청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시도한다.
다만 통증이 지속되거나 압박이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척골신경 감압술이란 피부를 절개한 후 신경압박의 원인이 되는 구조물을 제거하고 팔꿈치 뒤쪽에 있는 척골 신경을 앞쪽으로 옮겨 신경압박을 완화시키는 수술이다.
수술을 고려 중인 경우에는 정확한 신경 손상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 자기공명영상(MRI) 등 영상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다.
박기범 세란병원 정형외과 과장은 “팔꿈치에는 척골 신경이 지나가는 관 주위로 많은 인대, 힘줄, 뼈가 있다”며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구조물이 신경을 누르거나 팔꿈치 골절로 팔꿈치 모양이 변형돼 신경이 과도하게 당기며 팔꿈치터널증후군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박 과장은 이어 “병의 초기나 증상이 약하면 비수술적 치료를 해볼 수 있지만, 신경 근전도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될 정도라면 수술적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척골 신경은 팔꿈치에 반복적으로 기대거나 장기간 팔꿈치를 구부리면 쉽게 손상되므로 생활습관 개선이 꼭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