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대학병원 교수 수도권 이직 사례 많아…지방일수록 교수채용 어려워
김원이 의원 “의사증원 규모 확대…지역거점 대학병원 강력 지원‧육성 필요”
최근 대학병원 교수들이 사직 후 개원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가운데 국립대병원에 계약직 의사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이 전국 10개 국립대학교병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립대병원 임상분야 전임교수가 지난 2019년 1,906명에서 2023년 2,145명으로 12.5%(239명) 증가한 반면, 촉탁의‧진료의사 등 계약직 의사는 같은 기간 427명에서 672명으로 57.3%(245명)나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경향은 충북대병원을 제외한 9개 국립대병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4년간 계약직 의사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전북대병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9년 5명에서 2023년 19명으로 280%(14명)나 증가했다.
이어서 전남대병원 229%(14명➝46명), 충남대병원 218%(17명➝54명), 강원대병원 2,000%(1명➝20명), 경북대병원 182%(22명➝62명)순이었다.

국립대병원에 계약직 의사들이 늘어난 것과 관련해 보건복지부는 “대학병원 교수 임금체계가 호봉제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 봉직의나 개원의 소득보다 낮은 데 반해 진료와 학생교육, 연구 등 업무가 많다는 지적이 있다”며 “지방의 대학병원일수록 교수 채용이 어렵다”고 의견을 김원이 의원실로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지방 대학병원 교수가 수도권 대학병원으로 이직하는 사례도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호남권 등 의료취약지 대학병원의 의사 구인난이 더욱 심각해 중증진료를 통해 지역의료 거점 역할을 해야 할 대학병원의 진료‧연구 역량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임교수의 공백을 촉탁의 등 계약직 의사가 메우면서 실제로 전국 대학병원의 계약직 의사 연봉도 가파르게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대병원에서 제출한 자료를 보면 올해 6월 기준 각 국립대병원이 지급하는 연봉 액수는 전임교수보다 계약직 의사가 더 높았다.
경북대‧부산대‧서울대‧전남대‧전북대‧충북대병원 등 6개 병원은 지난 2019 년 전임교수 연봉이 계약직 의사보다 더 높았지만 올해는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한 것.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국립대병원 교수 구인난과 관련해 개원의와 국립대병원 교수 간의 소득 격차를 부채질하는 비급여 시장의 팽창을 막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원이 의원은 “대학병원 교수 구인난은 의사인력이 수요보다 부족하다는 방증으로 정부가 추진 중인 의대 신입생 증원이 충분한 규모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지역의 최상위 의료기관 역할을 맡는 대학병원에는 인력 등의 지원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