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보험통합 서비스, ‘공동청사’ 활용부터 시작해야
상태바
사회보험통합 서비스, ‘공동청사’ 활용부터 시작해야
  • 오민호 기자
  • 승인 2022.07.26 20: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성주 의원, ‘사회보험통합 서비스 제공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개최
국민연금 기금 활용 신축‧매입, 기존 청사 공간 조정, 국가‧지자체 청사활용

기관별로 다른 장소에서 개별적으로 운용 중인 사회보험 서비스를 ‘공동청사’ 활용을 통해 국민이 더욱 편리하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김성주 의원은 7월 25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사회보험 통합서비스 제공 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주최했다.

이날 최현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보장재정정책실장은 ‘사회보험 공동청사 활용을 통한 사회보험 급여서비스 중심의 사회보험공단 역할 강화방안’이라는 기조 발표를 통해 공간적 변화와 혁신의 구체저인 방안으로 ‘사회보험 공동청사’를 제안했다.

최 실장은 “사회서비스에 있어 공간의 변화는 단순히 공간적·물리적 변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간적·심리적·화학적 변화를 가져오고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에게 영향을 미쳐 만족도와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전제하면서 총괄 법령 없이 개별법 체계로 발전한 한국의 주요 사회보험의 주요 과제로 소득 중심의 전 국민 사회보험으로 개편, 지역 기반 사회서비스 연계와 사회보험 관련 급여 및 서비스 제공 강화를 위한 공간적 변화와 혁신을 지목했다.

특히 공간적 변화와 혁신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사회보험 공동청사’를 제안한 최 실장은 △국민연금 기금을 활용한 신축 또는 매입 △지역별 기존 사회보험공단 보유 청사의 공간 조정 △국가 및 지자체 보유 청사 활용을 방안으로 제안했다.

또한 ‘사회보험 공동청사’ 참여 기관을 기준으로 한 설치유형으로 △기본형: 3개 사회보험공단(국민연금공단, 건강보험공단, 근로복지공단) △표준형: 3개 사회보험공단 + 고용복지플러스센터 △확장형: 사회보험 관련 기관 및 지자체 사회서비스 거점센터 △지차체 확장형: 시군구 보건복지 전달체계 조직을 포함한 확장형 등 총 4가지 유형을 소개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사회보험 공동청사’가 국민 중심의 서비스 제공과 통합적 제도 관리에 있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하는 분위기였다.

먼저 정순희 국민연금공단 전략기획부장은 “통합서비스 제공과 공동청사 등과 같은 개편 방안이 중앙정부 차원에서 다뤄져야 한다”며 “기획재정부 등 관련 부처와의 협력과 전략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추가적인 과제를 제시했다.

건강보험공단 전주지사를 예로 든 김종희 국민건강보험공단 미래전략부장은 “남‧북부 지사가 모두 전주시 완산구 인근에 있어 내부에서도 공간 조정 필요성이 높다”며 “232개 지사를 보유한 건강보험공단의 특성상 지역별 여건에 맞는 맞춤형 설정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김성주 의원은 국민이 접근하고 이용하기 편리한 공공서비스 체계 혁신을 위해 50개 이상의 정부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캐나다(Service Canada)’의 한국적 적용을 주장해왔다며 전주시에 있는 사회보험 지사와 보건복지 관련 기관을 송천동 ‘공공청사 부지’로 모으는 (가칭)‘보건복지 행정타운’ 모델 설계와 운영을 21대 총선 공약으로 공언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임명규 전주시 신도시사업과장은 군부대 이전 이후 대규모 공동주택단지로 변모한 ‘공공청사 부지’ 일대의 변화와 교통, 접근성 등을 언급하며 “송천동 부지는 새로운 복지서비스 모델인 공동청사로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라고 주장했다.

전북의사회 건물을 고민하던 중 공동청사 계획을 듣고 토론회에 참석했다고 밝힌 김재연 전라북도의사회 부회장은 “보건복지 관련 민간단체들도 함께 공동청사에 입주한다면 의도하고 있는 효율과 효과가 더욱 증폭될 수 있을 것”이라고 공동청사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끝으로 김성주 의원은 “향후 국회와 정부, 전주시와 함께 공동청사 설립과 시범운영을 통해 복지서비스 변화와 발전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모색해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