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지역사회 중심 의료체계 실현, ‘디지털헬스’에 달렸다
상태바
사람·지역사회 중심 의료체계 실현, ‘디지털헬스’에 달렸다
  • 정윤식 기자
  • 승인 2021.12.13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상백 교수, 디지털헬스학회 창립 심포지엄에서 의료패러다임 변화 소개
디지털헬스에 대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기대감 새로운 국면 맞이해

앞으로의 의료체계는 사람과 지역사회 중심으로 가야 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대안이 디지털헬스를 활용한 통합 연계라는 주장이 나왔다.

병원과 같은 시설 중심의 치료만으로는 다가올 미래를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고상백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대한디지털헬스학회 수석부회장)는 12월 10일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대회의실에서 열린 ‘대한디지털헬스학회 창립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날 고상백 교수는 ‘의료패러다임변화와 디지털헬스’라는 주제로 디지털헬스의 개념부터 활용, 향후 발전 방향까지 소개했다.

고 교수는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과거 경험중심 의학이 현재 근거중심 의학으로 변했고, 치료중심에서 예방과 질병관리가 강조되면서 맞춤의학 시대가 도래했다고 내다봤다.

특히 디지털헬스는 디지털헬스케어, 모바일헬스, e-헬스, u 헬스케어 등과 혼용되고 있는데 세계보건기구에서 2019년에 새롭게 발표한 가이드라인에는 ‘디지털헬스’라고 명명됐다는 게 고 교수의 설명이다.

고 교수는 “디지털헬스는 디지털기술을 기반으로 한 의료기기에 관한 연구 및 모바일헬스케어, e-헬스케어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개념이다”며 “빅데이터, 유전체학, 인공지능 등 전 영역을 의학과 융합해 실제 임상현장 및 연구현장에 적용하는 전문분야로 정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헬스는 질병을 미리 예측하고 사전에 예방하며 개별 환자에 특화된 맞춤형 의료를 제공하고 그 과정에서 환자의 참여와 역할이 커지는 것이 특징인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헬스가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한 고 교수다.

고 교수는 “디지터헬스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데이터”라며 “그동안 의료시스템에서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으나,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면서 기술적으로 측정이 가능하고 저장 및 분석 활용이 원활해지면서 디지털헬스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디지털헬스 의료기기가 각종 사물과 사람 간에 서로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시대가 되면서 사용자는 물론 주변 환경의 데이터까지 측정할 수 있게 됐다.

병원에 가야만 얻을 수 있는 자료를 병원 밖 일상생활에서도 측정할 수 있게 됐고, 기존에 얻기 어려운 라이프로그 자료도 실시간 수집이 가능해진 것.

하지만 막대한 규모의 빅데이터를 제대로 측정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자료의 통합이 전제돼야 한다는 것이 고 교수의 주장이다.

고 교수는 “스마트폰와 웨어러블 등 디지털헬스 의료기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진료기록, 처방기록, 의료영상자료, 검사결과 등 전통적 의미의 의료데이터 통합이 필요하다”며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축적되고 인공지능 등으로 신속히 분석되면 질병을 예측하고 이를 통한 예방과 관리가 수월해진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모든 의료데이터를 통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지만 반드시 다가올 미래임이 확실하다”며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서 보건분야 데이터 활용을 높이기 위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향후 플랫폼이 활성화되면 디지털헬스의 가치는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부언했다.

아울러 고 교수는 디지털 기술 자체를 환자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는 ‘디지털 치료’에도 주목했다.

앱을 통해 당뇨병을 예방하는 식단관리, 생활습관 관리 및 코칭 등을 제공하는 체중감량 프로그램, VR(Virtual Reality)을 기반으로 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치료, 챗봇을 이용한 우울증 치료 등이 그 예다.

이처럼 디지털헬스에는 많은 장점과 무한한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동시에 의료시스템에서 제도화되려면 아직 많은 걸림돌이 남았다고 진단한 고 교수다.

고 교수는 “디지털헬스 분야의 규제, 기술의 안전성 및 유효성 등은 극복해야 할 과제”라며 “개인정보에 대한 사회적 합의도 필요하고, 의료시스템에 안정적으로 도입되는 데 따른 제도 개선도 이뤄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와 만성질환 확산 추세 속에서 병원과 같은 시설중심의 치료기능만으로는 미래를 맞이할 수 없으니 미리 대비하자는 게 고 교수 발표 내용의 요지다.

그는 “국민의 생활 수준 향상, 소득 증가 등으로 인해 건강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추세”라며 “의료서비스 현장의 ICT 수용도가 향상되고 있고 디지털헬스에 대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기대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의 의료체계는 건강패러다임 변화에 맞게 질병이 아닌 사람, 병원이 아닌 지역사회 중심으로 가야 한다”며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디지털헬스를 활용해 병원과 지역사회를 연계한 통합 돌봄 시스템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