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데이터센터에 거는 기대…성공 위한 선결 조건은?
상태바
암데이터센터에 거는 기대…성공 위한 선결 조건은?
  • 정윤식 기자
  • 승인 2021.09.29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정민·이용우·신현영 의원, 국립암센터와 국립암데이터 토론회 개최
성주헌 교수, “데이터 기반 혁신적 암연구 활성화 위한 조건 갖춰야”
암센터 주도로 다양한 국내외 인력과의 개방형 공동연구 시스템 필요
이미지출처: 픽사베이
이미지출처: 픽사베이

의료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에 대한 국민적·사회적 관심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가암데이터센터’가 기대에 부응하려면 개방형 공동연구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다양한 국내외 인력과의 새로운 협력연구 방안이 개발돼야 한다는 의미인데, 이는 국가암데이터센터가 공공의료 빅데이터 인프라로서 안착하기 위한 선결 조건이라는 것이다.

국립암센터는 지난 9월 1일 암관리법에 따라 국가암데이터센터로 지정돼 앞으로 3년간 암 데이터 컨트롤 타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됐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홍정민·이용우·신현영 의원은 9월 28일 여의도 전경련 회관 토파즈홀에서 ‘공공의료 빅데이터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주제로 국립암센터와 국가암데이터 사업의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현재 국립암센터 국가암데이터센터 사업 수행은 2024년까지 3단계로 계획돼 있다.

우선, 1단계(2021년~)에서는 암데이터사업에 필요한 국가 단위 암 데이터의 수집 및 구축이 이뤄지고 2단계(2023년~)는 암 데이터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개방 체계 및 플랫폼 구축을 마련하는 게 목표다.

끝으로 3단계(2024년~)에서 암 데이터의 공익적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 사업 활성화를 꾀한다.

실제로 국립암센터는 그간 45만명의 임상·영상·유전체 데이터를 연계한 임상연구 데이터웨어하우스를 구축했으며, 관련 정책 수행 경험이 풍부해 국가암데이터센터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날 세미나에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성주헌 교수는 빅데이터 기반의 혁신적 암연구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언했다.

성주현 교수는 새로운 국가암데이터센터는 암관리 사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익연구, 신의료기술연구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혁신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가 될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

하지만 분야별, 암주기연구 목표별, 데이터 종별에 따라 데이터의 양과 질을 확보하고 통합하려면 지속적인 지원과 노력이 필수라는 점도 함께 강조했다.

제도적으로 허용된 공공분야의 데이터베이스 통합 및 활용 시스템 구축이 가장 먼저 수행돼야 하며, 데이터의 외연 확대를 비롯해 통합분석의 심도를 높여야 한다는 것.

성 교수는 “데이터 기반의 연구는 기존 연구 고도화는 물론 장기적으로 새로운 발암 요인의 규명 및 평가, 위험도 기반의 검진 시스템, 신 치료물질 스크리닝, 신 항암치료제의 보험급여적용 평가 등 선도적 혁신연구를 지향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연구개발 경쟁력 차원에서 정밀임상 정보와 유전체 정보의 통합은 가장 어렵고 큰 비용이 소요되는 사업이지만, 혁신연구의 성패와 수준을 결정하는 요건이라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는 게 성 교수의 주장이다.

특히 성 교수는 신규인력을 포함한 고급인력의 확보와 이들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한 협력연구 방안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데이터 구축 이상으로 혁신연구를 위한 고도의 분석시스템 개발이 매우 중요한 핵심 관건”이라며 “대규모의 고급인력과 역량이 집중돼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신규인력의 확보와 양성 이외에도 다양한 국내외 인력과의 새로운 협력연구 방안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이는 국립암센터 주도의 개방형 공동연구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세미나를 공동 주최한 홍정민 의원은 인사말에서 “국가암데이터센터에 축적될 국가암데이터는 정밀의료와 신약개발 등 신산업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향후 완공될 일산테크노벨리 바이오클러스터 뿐만 아니라 국가 단위의 헬스케어 산업 관점에서도 중요한 자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