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근시, 시력교정에 앞서 눈 건강에 유의
상태바
고도근시, 시력교정에 앞서 눈 건강에 유의
  • 한봉규 기자
  • 승인 2018.04.26 08: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 안과학회와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12세~18세 청소년의 근시 유병률은 80.4%, 이중 고도근시 유병률은 12%에 달했다. 

근시는 주로 청소년 성장기에 몸과 함께 눈이 성장하면서 발생한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어 그 위험성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지만, 평생 시력을 결정짓는 요인이므로 문제 인식이 필요하다.

또한, 고도근시인 사람은 정상인보다 망막과 시신경이 약한 경우가 많고, 눈의 구조가 특이하기 때문에 망막변성, 망막박리 등의 안과 질환이 발병할 확률이 높아 평소 눈 건강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 바로 앞에 놓인 물건도 안 보인다? 안경 없이 일상 생활 어려운 고도근시

근시는 먼 곳을 바라볼 때 물체의 상이 망막의 앞쪽에 맺히는 굴절 이상으로 먼 곳은 잘 안보이고 가까운 곳은 잘 보이는 상태의 눈을 말한다. 고도근시는 심한 근시를 의미하는데 시력검사표의 가장 큰 글씨도 구분하기 힘들고, 가까이 있는 물체도 잘 안 보여서 안경이 없으면 일상생활이 어렵다.

안경 렌즈도 두꺼워서 안경을 썼을 때 눈이 작아 보여 안경 대신 렌즈를 착용하는 이들도 많다. 일반적으로 렌즈의 굴절력, 도수를 나타내는 단위를 D(디옵터)라고 한다. 마이너스는 근시, 플러스는 원시, 정상적인 정시는 0디옵터이다. 고도근시는 -6D(디옵터) 이상일 경우를 말한다.

초고도근시는 -9D(디옵터) 이상을 말하는데 그 자체를 질환으로 보기 때문에 병적근시라고 부른다. 고도근시인 사람은 정상인보다 망막과 시신경이 약한 경우가 많고, 눈의 구조가 특이하기 때문에 망막변성, 망막박리 등의 안과 질환이 발병할 확률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풍선의 원리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누네안과병원 김주영 원장은 “풍선은 불면 불수록 크기가 커지면서 표면이 얇아진다. 근시가 생기면 안구가 커지면서 안구의 길이도 앞뒤로 늘어난다. 이때, 안구 내면을 이루는 신경막 조직인 망막도 함께 얇아지게 된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풍선을 계속 불면 어느 정점에서 터져버리듯이 망막 또한 근시가 심해지면 망막에 구멍이 나는 망막열공, 찢어지는 망막박리가 나타나는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 유전 및 스마트폰 대중화로 인한 근거리 작업 시간 증가가 고도근시 촉진

근시는 유전적인 영향이 높으며 이는 고도근시도 마찬가지다. PC와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근거리 작업 시간이 늘어나면서 고도근시의 위험은 더 높아졌다. 근거리 작업을 오랫동안 하다 보면 수정체가 가까운 거리만 보도록 훈련되어, 먼 거리와 가까운 거리를 자연스럽게 볼 수 있게 해주는 수정체의 조절력이 약해지면서 근시가 심해질 수 있다.

누네안과병원 김주영 원장은 “근시를 교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안경 착용이 있다. 라식, 라섹 등의 시력교정술로도 교정할 수 있다. 초고도근시(병적근시) 환자의 경우 라식이나 라섹보다 안내렌즈 삽입술이 적합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안경이나 시력교정술로 근시 도수를 정상으로 만들어 잘 보이게 되더라도 눈 안의 조직이나 신경이 약해진 상태는 바뀌지 않는다.

◆ 고도근시, 과도한 근거리 작업 피하고 주기적인 안과 검진 중요

고도근시를 가지고 있다면 근거리 작업을 과도하게 하지 않아야 한다. 근거리 작업을 장시간 할 경우 시간당 10분 정도 휴식시간을 가져야 한다. 이 때, 멀리 있는 물체를 바라보며 휴식을 취하면 더욱 좋다.

또한 고도근시는 일반인에 비해 눈이 약한 상태이므로 정기적인 안과 검진으로 눈 건강에 이상은 없는지, 또는 초고도근시(병적근시)로 진행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어도 1년에 한 번은 주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특히 비문증, 광시증 등의 증상이 새로이 나타나거나 심하게 되는 경우에는 망막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