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병원의 경쟁력 제고방안과 과제
상태바
중소병원의 경쟁력 제고방안과 과제
  • 병원신문
  • 승인 2014.04.09 16:24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한국병원경영연구원 이용균 실장

1. 중소병원의 위기원인  

중소병원의 경영 어려움은 2010년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으로 평가된다. 2010년도부터 중소병원들은 의사, 간호사 등 인력 구인난, 인건비의 증가, 내원 환자수 정체현상이 일어났다. 또한, 단일 건강보험 수가체계에서 의료 인력과 환자들의 대형병원으로 집중현상으로 중소병원들은 경영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중소병원에서 겪고 있는 경영악화가 단순히 경기침체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 설득력이 있다. 최근 병협의 정책위원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요즘 병원장을 만나보면 모두 힘들다고 한다"면서 "열심히 노력해도 경영실적이 좋아지지 않고, 눈에 뛸 정도로 외래와 입원환자가 줄었다"며 중소병원의 현실을 호소하고 있다.

중소병원 원장들의 의견을 토대로 한 병원경영 악화 원인을 살펴보면 ▲저수가 ▲인건비 증가 ▲비급여 및 의료 외 수익 악화 ▲경기침체 현상 ▲노인 병상 증가 ▲검진 활성화 ▲의료소비자 의식 변화 ▲병상공급 과잉 ▲지방병원 의사 인력난 ▲영상수가 인하와 카드수수료 인상 ▲의료 상업화 등이다.

또한, 그 동안 잘 나가던 대학병원의 경영악화도 병원계에서 이슈가 되고 있다. 심사평가원의 진료비통계에서도 환자 감소가 뚜렷하고 이에 따라서 건강보험 환자급여비가 줄고 있다. 그 결과 대학병원들이 비상경영을 선언할 정도로 심각한 양상이다. 대학병원들이 이렇게 경영수지가 악화된 요인은 그 동안 영상의학 등 관련수가의 인하요인, 내원 환자수 감소현상 및 병원의 지속적인 비용상승이 주요 요인들이다.


2. 중소병원 경영의 필수시대

병원은 어떤 산업보다도 정부 정책에 많은 영향을 서비스 산업이다. 2014년도부터 병원경영에 영향을 줄 정책요소로서는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정책이 도입된다. 지난 해 초음파 검사 보험적용 등을 시작으로 2014년도 고가항암제 약제와 MRI․PET 등 영상검사, 2015년도 각종 수술 및 수술재료, 2016년도 유전자 검사 등 각종 검사를 순차적으로 건강급여화 정책방안이 예상된다.

보건복지부는 ‘4대 중증질환 보장강화 방안’이 완료되면 4대 중증질환자의 진료비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즉, 필수의료로 분류되어 보험급여가 적용되는 고가항암제, MRI 등 각종 검사를 이용하는 환자는 비용의 5~10%만을 부담하여 환자부담이 크게 경감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중증질환에 대한 건강보험의 보장성이 강화되려면 초음파 건강보험 적용사례에서 같이 원가분석이 선행될 것이다. 이 경우 의료기관에서는 기존의 관행적 수가보다 낮은 수가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국내 중소병원들도 생존을 위해서 일반기업처럼 병원도 경영을 해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 점차 높아가는 환자들의 서비스 기대치를 맞추기 위해서는 병원은 인력과 시설투자가 요구되고, 이를 위해서는 재정투자와 필요하며 따라서 중소병원에서도 경영이 필수적인 ‘병원경영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중소병원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50%을 넘어서고 있다.

따라서 경영을 통한 비용절감이 중소병원의 필수경영조건이 되고 있다. 또한, 중소병원이 환자중심, 특정질환 전문병원 등 틈새진료역량이 중소병원의 생존전략으로 대두되면서 병원의 지속경영이 화두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3. 중소병원의 경쟁력 제고과제

중소병원의 경영환경이 악화하면서 전국 1,500개 중소병원의 지속경영이 병원계의 화두가 되고 있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건강보장성 강화정책의 일환으로 환경변화가 대형병원을 제외한 대다수 중소병원들이 감내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병원의 경영위기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아직도 낮은 편이다. 이는 수도권 대형병원의 양호한 경영현상과 이에 따른 신증축이 가져다 준 착시효과 등으로 병원경영이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1,500여개 중소병원들은 향후 다가오는 총체적인 경영위기를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하는 과제는 오로지 병원장의 몫으로 남아있다. 따라서 중소병원의 생존전략에 대해서 병원장의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 동안 병원들이  흔히 채택하는 경영전략은 차입금을 통한 병상의 증설이었다. 하지만 수도권 신도시를 중심으로 병원 신증축이 계획되었다가 병원환경의 악화 등으로 유보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제는 CT, MRI, PET 등 고가의 의료장비 도입전략은 병원의 수익증대와 타 병원과의 경쟁에서 이미 과다공급으로 투자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이제부터는 중소병원에서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과 핵심경쟁력 제고를 위해서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첫째, 중소병원에서 지역거점병원, 질병전문병원 및 요양병동개설 등 전문화된 틈새 병원경영전략이다. 왜냐하면 병상공급은 이미 과잉공급현상을 보이고 있고, 고령사회를 경험하고 있는 일본에서는 급성기와 요양형병원을 결합한 틈새경영을 통한 병원경영이 일반화된 현상이기 때문이다.

둘째, 현행 중소병원의 진료기능 재설정과 운영모형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처럼 중소병원과 대형병원이 종별로 진료역할과 기능적인 구분이 없이 제로섬(zero sum)게임 경쟁체계는 제도적 한계점에 도달해 있다. 그리고 중소병원의 낮은 병상가동률을 감안하여 급성기병동+만성기병동 혼합모형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도 이를 제도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셋째, 병원의 지역사회 내 상생모형이 필요하다. 상급종합병원과 협력의료기관 확대를 통해 중소병원 간 전문분야 협력 등 경영상 돌파구를 확보해 나갈 필요가 있다. 최근 상급종합병원이 협력네트워크를 맺은 중소병원과의 진료 노하우 공유와 함께 의료인력 교류 등이 일어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상급병원의 진료정보 공유를 통한 중소병원의 의료 질 향상을 꾀하고 상급병원은 중증환자를 진료한다는 점에서 Win&Win을 구축했다는 평가이다. 또한 병원 간 전문분야 의료인력의 공유도 서로 약한 분야를 보강해줌으로써 지역사회 환자에게 보다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이다.

따라서 정부도 병원간의 상생모형이 가능하도록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한다. 왜냐하면 최근 의료계의 일련의 파업사태를 지켜보면 정부의 정책은 일이 터진 후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의 뒷북정책이 많이 노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 시점에서 국내 중소병원의 위기를 이제는 정부가 적극 나서서 정책개선을 선도할 만큼 위기의 출발 시점이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Jerrell 2015-03-16 23:50:44
You completed a number of fine points there. I did a search on the issue and found most folks will agree with your blog.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