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 예측 인자 발견
정상 노인서 인지기능 담당 뇌 신경망 파괴 확인
아밀로이드 단백질 침착이 원인
정상 노인에서 알츠하이머 병 발병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예측인자가 국내 의료진에 의해 발견됐다.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현국 교수팀이 인지 기능이 정상이더라도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뇌에 침착되고 있다면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뇌의 네트워크 협력체계도 함께 파괴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임현국 교수팀과 미국 피츠버그 의대 알츠하이머 연구팀이 인지 기능이 정상인 노인 56명을 대상으로 아밀로이드 단백질 침착 여부와 뇌 기능 신경망을 측정, 분석했다.
아밀로이드 단백질은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으로 꼽히는 물질로, 그동안 기억력과 연관된 뇌의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 DMN)의 연결성을 떨어뜨린다는 보고는 있었지만, 다른 뇌 신경망 네트워크, 특히 집중력과 수행능력과 연관된 중앙집행기능 네트워크(Central executive network, CEN)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이번 연구는 아밀로이드가 쌓일수록 정상인지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디폴트모드 네트워크와 중앙집중기능 네트워크 사이의 협력체계가 깨진다는 사실을 확인한 연구이며, 특히, 인지 기능에 문제가 없는 정상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이는 현재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인 알츠하이머병의 증상이 없더라도 아밀로이드 단백질 침착 정도와 뇌 신경망 연결 상태에 따라 치매 발병 가능성과 발생 시기를 예측하고, 사전에 원인 요소를 제거해 치매를 예방하고 차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연 것이다.
알츠하이머병은 진행 자체를 막을 수 있는 치료제 개발에 잇달아 실패하고 있으며, 개발된 아밀로이드 백신의 경우에도 이미 치매가 진행된 환자에서는 그 효과가 매우 제한적이다. 때문에 알츠하이머 치매는 조기 진단 및 치료와 아울러 발병되지 않게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임현국 교수는 “현재 인지 기능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정상 노인일지라도, 자신도 모르는 사이 치매라는 시한폭탄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며 “연구를 통해 개발된 기능 자기공명영상(MRI)을 이용한 신경망연결성 예측 시스템과 아밀로이드 양전자 단층촬영(PET)을 이용한다면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 전 이를 확인할 수 있어 사전에 적절한 약물을 사용하거나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제거해, 발병을 최대한 늦추거나 사전에 발병을 차단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임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알츠하이머병 정복에 한걸음 더 다가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신경과학학술지 ‘BRAIN’ 2014년 12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