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노동이 우울증 발생위험 높여
상태바
감정노동이 우울증 발생위험 높여
  • 윤종원 기자
  • 승인 2019.01.16 22: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려의대 정신건강의학교실 한창수, 한규만 교수팀
▲ 사진 왼쪽부터 한창수, 한규만 교수
서비스 및 판매직 근로자의 감정노동이 우울증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려의대 정신건강의학교실 한창수, 한규만 교수팀은 국민영양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논문에서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한창수 교수팀은 19세 이상 성인 서비스/판매직 근로자 2천55명 (여성 근로자 1천236명, 남성 근로자 819명)을 대상으로 지난 한 해 동안 우울 증상을 경험해 봤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근로자의 13.9%가 우울 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설문지에서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숨기고 일해야 되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서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라고 대답한 근로자를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것으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전체 근로자의 42.8%에 해당하는 879명이 감정노동을 경험했으며, 감정노동을 경험한 근로자 중 18.5%에서 우울 증상을 경험한 반면, 감정노동을 경험하지 않은 근로자 중에서는 10.4%만이 우울 증상을 겪었다.

특히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감정노동을 경험한 여성 근로자는 감정노동을 경험하지 않는 여성 근로자에 비해 우울증상을 경험할 위험이 2.19배 증가했다.

반면, 남성 근로자의 경우 감정노동 여부가 우울증상의 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못했다.

이는 감정노동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다름을 말한다.

감정노동은 여성과 남성 근로자 모두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할 위험을 각각 6.45배, 6.28배 증가시켰다.

감정노동과 직무 자율성과의 상호작용을 살펴본 분석에서는 남성 노동자의 경우 감정노동을 경험한 동시에 직무 자율성이 낮은 환경에서 근무하는 경우에만 우울증상의 위험이 2.85배 증가했다.

하지만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반면 높은 직무 자율성을 갖는 환경에서 근무하는 경우에는 우울증상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지 않았다.

이와는 달리 여성의 경우에는 감정노동과 직무 자율성 간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남성 근로자의 경우 높은 직무 자율성이 우울 증상에 대한 보호 요인으로 풀이된다.

한창수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최전선에서 고객을 상대해야 하는 서비스/판매직 근로자들이 경험하는 감정노동이 우울 증상의 위험을 명백히 높인다는 점을 시사하며, 특히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여성 근로자들이 우울증 발생의 위험으로부터 취약함을 말해준다. 추후 기업이나 정신 보건 정책 입안자들은 서비스 및 판매직 근로자의 감정노동 경험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2018년 9월 SCI급 국제학술지인‘Psychiatry Research’에 게재된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