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판막협착증에 ‘이미징 검사’가 적합 지표
상태바
대동맥판막협착증에 ‘이미징 검사’가 적합 지표
  • 박해성 기자
  • 승인 2019.01.15 13: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심장MRI, 심장특수초음파’ 검사로 심장근육 섬유화 예측 및 진단 가능
삼성서울병원 박성지·김성목 교수팀 연구결과 국제학술지에 게재

심장MRI와 심장특수초음파 검사가 대동맥판막협착 환자의 심장근육 섬유화 정도를 가장 정확히 예측하는 지표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 이미징센터 순환기내과 박성지, 영상의학과 김성목 교수연구팀은 심장근육 섬유화 정도를 평가하는 ‘이미징 검사’인 심장MRI 검사(ECV, T1)와 심장특수초음파 검사(스트레인:GLS)를 통해 ECV가 대동맥판막협착 환자의 심장근육 섬유화 정도를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지표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에서 심장근육이 점차 섬유조직으로 바뀌어 딱딱하게 굳는 섬유화가 생기면 경과가 매우 좋지 않고, 심할 땐 조기 수술이 필요하다. 심장근육 섬유화 여부는 원칙적으로 심장조직 일부를 떼 내어 평가하는데, 최근 심장초음파나 MRI와 같은 ‘영상검사 이미지’ 기술이 발달하며 기존의 조직검사를 대신할 수 있을지에 대해 학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었다.

연구팀은 2012년 2월부터 2015년 3월까지 4년간 중증 대동맥판막협착 환자 71명을 대상으로 심장초음파 검사(스트레인:GLS), 심장MRI 검사(ECV, T1)를 시행하고 대동맥판막 교체수술 시 심장근육에서 직접 심장근육 섬유화 정도를 평가해 세 단계 그룹(경미한 단계 23명, 중간 단계 24명, 심한 단계 24명)으로 나눠 관찰했다.

이 중 심장MRI 검사로 측정한 심장근육 섬유화 예측 지표인 ECV가 다른 섬유화 지표(MRI상 T1, 심장특수초음파상 GLS) 보다 심장조직검사로 측정한 섬유화 정도와 연관성이 제일 높았고, 다른 섬유화 지표인 MRI상 T1, 심장특수초음파상 GLS도 연관성이 높았다. 심장근육 섬유화가 심한 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사망과 심부전에 의한 증상 발생 및 입원율이 높았다. 

▲ 심장MRI(ECV, T1), 심장특수초음파(스트레인:GLS)와 조직에서 측정한 심장근육 섬유화(Myocardial fibrosis) 정도와의 연관성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모든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에서 심장조직검사를 시행하지 않고도 심장MRI 검사(ECV, T1)와 심장특수초음파 검사(스트레인: GLS)를 통해 심장근육 섬유화 여부를 정확히 진단해 환자 예후를 예측하고 수술 및 시술 시기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을 찾아내는 성과를 얻었다.

박성지 교수는 “심장판막질환은 정확한 진단을 기본으로 하는 질환이므로 정확한 이미징 검사를 통한 진단이 필수적이며 반드시 전문가에 의해서 진단, 치료 방침이 결정되어야 한다”며 “삼성서울병원 심장판막팀은 이러한 기본을 바탕으로 환자 개개인의 상태와 다양한 이미징 검사를 통해 최선의 치료효과를 얻기 위해 노력중이다”고 전했다.

한편 박성지 교수는 대동맥협착증의 주요 증상인 가슴통증이 발생하는 기전을 연구해 세계적인 미국 심장학회지에 게재한 바 있으며,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미국심장학회지 공식 이미징저널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Cardiovascular Imaging(IF 10.247)’ 최근호에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