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병수당 도입 될까…관건은 재원 확보
상태바
상병수당 도입 될까…관건은 재원 확보
  • 오민호 기자
  • 승인 2017.02.24 2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간 최소 1조4천억원에서 최대 2조8천억원 필요해
최근 대선정국을 맞아 질병으로 인한 소득 손실을 보장하는 상병수당 도입 논의가 뜨겁지만 연간 2조원 이상의 추가 재정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돼 재원 확보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2월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양승조 위원장과 한국환자단체연합회가 공동으로 주최한 상병수당 현실화를 위한 토론회에서 임준 가천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상병수당 도입 시 지급돼야 할 총액이 연간 최소 1조4190억원에서 최대 2조8225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했다.

임준 교수는 “재정부담을 추계하기 전에 먼저 질병으로 인해 소득 손실이 어느 정도 발생하는 지 추정하는 게 순서”라고 했다.

그는 직접적인 소득손실 가운데 입원과 외래 방문에 소요되는 교통비와 외래 방문에 소요되는 시간비용을 뺀 입원에 한정한 시간비용을 통해 소득손실을 추정했다.

또 일일소득손실은 2017년 2인 가족의 최저생계비, 최저임금, 통계청 발표 평균임금, 노동부 발표 평균임금 등을 고려했다.

즉 평균임금의 70%를 소득손실로 인정할 경우 최종적으로 상병수당으로 지급돼야 할 총액은 올해를 기준으로(대상은 2015년 기준) 각각 1조4190억원, 1조9572억원, 2조1281억원, 2조8225억원으로 산출됐다.

임 교수는 “제시된 추정액은 경제활동인구 중 산재보험으로 급여를 받아야 할 대상자의 상당수가 건강보험에서 급여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추정된 것”이라며 “산재보험 개혁이 함께 이루어질 경우 추가 소요 재정은 이보다 더 적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제는 상병수당 도입에 따른 건강보험 추가 재원을 어떻게 확보할지다.

임 교수는 “보험료 인상 등을 통해 건강보험 가입자 부담이 증가되는 건 맞지만, 이미 민간의료보험과 가계 부담을 통해 지출하고 있는 비용을 공적인 방식으로 해결한다는 점에서 갑자기 없던 비용이 발생한 게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오히려 과도한 행정 비용 및 불필요한 비용만 발생시키는 민간의료비를 사회보험료로 이전시켜 건강보험 가입자의 가처분 소득을 늘리는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임 교수는 “20조원의 적립금을 쌓아놓고 있는 건강보험금을 일정기간동안 사용하고 산재보험제도 개혁 등과 맞물려 실제 추가로 소요되는 재정추계를 파악해 단계적 보험료를 인상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자영업자 등 지역가입자의 소득손실에 대한 파악은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편에 따른 보험료에 기초해 소득을 상정하면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했다.

정형준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실행위원은 “건강보험 20조가 넘는 흑자 상황은 국민들이 내는 보험료에 비해 혜택을 받지 못했다는 것”이라면서 “상병수당에 20조원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 위원은 “상병수당의 경우 소득 대체율로 가게 되면 소득신고에 따른 보상이 돌아오고 노동소득·근로소득·자영업자소득 등이 연동돼 파악될 수 있다”면서 “미흡할 수도 있지만 건강보험으로 상병수당을 빨리 도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윤명 소비자시민모임 사무총장은 상병수당 지급대상, 지급수준에 대한 논의뿐만 아니라 재원마련 논의 등이 필요하지만 지금은 최저 수준에서라도 시작을 하고 난 뒤 개선해 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